홈 생활유해물질 알리미관련기사 국외

국외 Related News - International

제목
Product Evaluation and Purchasing: Environmental Hygiene-Related Products
요약 내용
- ICT는 생활 위생 제품의 제조업체들을 초대해 제품 평가와 관련한 모범 사례에 대한 지침을 제공 하고 의료 환경에 도입 및 통합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일시
2017. 09. 05.
+ 링크
제목
Duke study links infertility to chemical found in nail polish, mattress pads
요약 내용
- 듀크, 하버드, 미시간 대학의 연구에 따르면 체외수정을 통해 임신을 시도하려는 여성들은 매니큐 어를 멀리 해야 할 것 이다. - 연구에 의하면 PFRs이 성공적인 체외수정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연구자에 의하면 PFR은 PentaBDE의 안전한 대안으로 소개되지만 동물연구에서 태아발달에 중요한 갑상선 호르몬과 성호 르몬을 파괴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PFR은 가구의 천, 매트리스 패드, 낮담 매트 및 자동차 시트, 폴리 우레탄 폼을 사용한 제품에 포함된다. PFR중 하나인 triphenyl phosphate은 매니큐어에서 프 탈레이트 대신 사용된다.
일시
2017. 09. 06.
+ 링크
제목
Hidden Carcinogen Taints Tap Water, Consumer Products Nationwide
요약 내용
- EWG의 분석에 따르면 화장품이나 가정용 청소용품에 포함된 발암성 산업 용매가 45개 주에서 9000만 미국인에게 제공되는 수돗물 샘플에서 발견됐다. - 이 결과에 의하면 27개 주 700만명이 화학물질인 1,4 dioxane이 평균 보다 높은 수준으로 공공 수 도 시스템에 의해 공급되고 있다. - 발표된 EWG의 보고서에는 전국 수돗물에 1,4 dioxane의 테스트 데이터를 보여주는 양방향지도가 포함되어 있다.
일시
2017. 09. 05.
+ 링크
제목
Should we stop using baby powder? The experts weigh in
요약 내용
- 미국 법원이 존슨앤존슨에 이 회사 베이비파우더 제품을 쓰다가 난소암에 걸린 한 여성에게 4억1천700만 달러(약 4천745억 원)를 배상하라고 명령했다. - AP통신 등에 따르면 이날 로스앤젤레스 법원 배심원단은 캘리포니아에 사는 여성이 존슨앤존슨을 상대로 제기한 소송에 대해 이같이 결정했다. - 이 여성은 존슨앤존슨 베이비파우더를 정기적으로 여성 위생용으로 사용하면 베이비파우더에 함유 된 탈크 성분이 난소암을 유발한다고 주장했다. - 1950년대부터 베이비파우더를 매일 쓰다가 2007년 난소암 진단을 받은 이 여성은 소장에서 "터무 니없이 위험하고 결함이 있는 탈크 파우더 성질"의 영향으로 암에 걸렸다고 밝혔다. - 그는 존슨앤존슨이 소비자들에게 탤크 파우더가 잠재적으로 암을 유발할 위험성을 제대로 알리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 존슨앤존슨 측은 베이비파우더의 안전성은 과학적인 증거로 뒷받침된다며 배심원단 결정에 불복해 항소하겠다고 밝혔다. - 앞서 지난 5월 미국 미주리 주 법원 배심원단도 베이비파우더를 40년 이상 쓰고 난소암에 걸린 한 여성이 제기한 소송에서 존슨앤드존슨에 1억1천만 달러가 넘는 금액을 배상하라고 명령했다. - 그러나 올해 3월에는 베이비파우더 사용과 암의 연관성이 인정되지 않는다며 존슨앤존슨가 승소한 판결도 나왔다.
일시
2017. 08. 22.
+ 링크
제목
Consumer watchdog calls for more investigations into unsafe products
요약 내용
- 생활용품 리콜 톱6 - 1. 가전제품, 도구 및 기계류 - 2. 완구, 레저 스포츠 용품 - 3. 어댑터, 전원 공급 장치 또는 충전기 - 4. 조명 - 5. 아기 용품 - 6. 조리기구
일시
2017. 08. 17.
+ 링크
제목
38 out of 60 shampoos found to contain harmful manufacturing solvent in tests by Hong Kong consumer watchdog
요약 내용
- 홍콩 소비자위원회는 홍콩 내 판매 중인 샴푸 60종(일반 39개, 여성용 3개, 남성용 7개, 탈모용 11 개)을 대상으로 화학 성분 검사를 실시한 결과를 발표했다. - 홍콩은 수입 샴푸 등에 대한 법규제가 없기 때문에 제품 성분, 라벨링 등에 대한 샘플 검사가 수시 로 이뤄지고 있다. - 검사 결과 60개 샘플 중 39개 제품이 제조 공정에서 용제로 흔히 사용되는 1,4-dioxane, an ether 을 함유하고 있었다. 39개 제품 내 1,4-dioxane은 1.1ppm에서 24ppm까지 다양한 농도로 함유돼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 중국 CFDA은 1,4-dioxane이 화장품에 30mg/kg(또는 ppm) 이상 함유되지 않도록 규제하고 있다. 홍콩에서 샴푸는 화장품류로 분류된다. - 1,4-dioxane은 화장품이나 세제, 샴푸에서 종종 발견되지만 액체 형태로 장기간 피부에 접촉될 경 우 간과 신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또 단기간 노출되더라도 눈과 호흡기에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다만 조사한 제품들에 함유된 양은 사용자들에게 큰 위험성을 띄지 않는 수준이었다. - 그 밖에 12개 제품에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는 MIT 또는 CMIT가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성분은 한국에서 가습기 살균제로 문제가 됐던 것이다. MIT와 CMIT 의 경우 중국과 유럽에서 0.0015%(15ppm)을 초과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 1개 제품의 MIT와 CMIT 총 함유량이 0.0015%로 중국과 EU 기준을 넘었고, 3개 제품은 MIT유 럽 SCCS 기준선인 0.0015%를 초과했다.
일시
2017. 08. 15.
+ 링크
제목
Eggs contaminated with insecticide may have entered UK, EU warns
요약 내용
- 영국 FDA는 독일에서 수입된 계란이 살충제로 오염됐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프랑스, 스웨덴, 스 위스 역시 같은 위험에 있다. - WHO에 따르면 살충제 피프로닐은 다량섭취하면 간, 갑상선 및 신장에 손상을 줄 수 있다. - 오염원은 벨기에의 살충제 공급 업체인 것으로 추정된다. 공급자들은 제품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합법적인 물질과 불법적인 물질을 혼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네덜란드와 벨기에는 6월 오염 사실을 알게 돼 형사 수사를 시작했다. - 벨기에 인들의 투명성 부족으로 주변 국가들에 이같은 사실이 통보되지 않으면서 독일에서 분노가 심해졌다. - 일반적으로 독일인은 한 주에 5개의 알을 소비하는데 이 달걀의 대부분에서 피프로닐이 발견됐다.
일시
2017. 08. 07.
+ 링크
제목
Liquid-filled iPhone cases recalled after reports of chemical burns
요약 내용
- 액체 반짝이가 들어있는 일부 유명 휴대폰 케이스가 리콜조치됐다. - 문제의 케이스가 부서졌을 경우 얼굴에 화상을 입히거나 물집이 생기는 등 피부 질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드러났다.
일시
2017. 08. 02.
+ 링크
제목
Rise in Imports of Personal Care Products May Pose Health Risk
요약 내용
- 뉴욕타임즈에 따르면 수입된 개인 위생 용품에서 수은, 납, 박테리아와 같은 오염 멀질이 발견되고 있다. - FDA의 가장 큰 우려는 수은 함량이 높은 미백크림이다. 이 외에도 납을 포함하는 아이라이너, 박테리아가 많은 화장품 키트 등이다.
일시
2017. 08. 02.
+ 링크
제목
CPSC to finalise rule that could ban five phthalates in toys
요약 내용
- 미국 소비자 제품 안전위원회는 10월 18일까지 어린이 제품에 5 종의 프탈레이트 사용을 금지 할 수있는 규정을 완성하기로 합의했습니다. - »DIBP; - »DnPP; - »DnHP; - »DCHP; - »DINP.
일시
2017. 08. 30.
+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