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Home
소개
교수님
연구실 식구들
연구
강의
게시판
생활유해물질 알리미
생활유해물질 알리미
관련기사
국외
생활유해물질 알리미
소개
관련기사
- 국내
- 국외
INNERCs
국외
Related News - International
제목
Norwegian environment minister launches microplastics investigation
요약 내용
- 노르웨이 기후 및 환경 장관은 해양 쓰레기와 해양에서의 마이크로 플라스틱을 추적하는 방법을 조사할 것을 주문했다. 그러면서 수산양식과 어업 양식용 장비, 자동차 타이어, 인조잔디, 도료 및 직물을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 - Vidar Helgesen의 제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마이크로 플라스틱의 유출을 막기 위해 도료 세척용 도구를 조사할 것 - 인조잔디에서 고무 입자를 대체하는 옵션과 비용을 보다 친환경적인 대안으로 평가할 것 - 인조 잔디 및 고무 과립 제품을 포함하도록 타이어 재활용 계획을 확대할 가능성에 대한 연구 - 또 이밖에 세탁기에서 폐수를 정화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일시
2017. 03. 09.
+ 링크
제목
Microbeads ban in UK cosmetics products expected by July 2018
요약 내용
- 영국정부가 화장품 및 퍼스널 케어 제품용 마이크로 비드 제조를 금지하는 안을 내년 초 시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시
2017. 03. 10.
+ 링크
제목
Consultation on eight substances for harmonised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요약 내용
- Echa는 다음의 8가지 물질의 분류 및 라벨링에 대한 의견을 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 Diisooctyl phthalate : 소비자 제품용 합성 고무, 중합체 수지 및 제조에 사용되는 가소제. 생식 독성에 대한 의견 - silicon carbide : 발암성에 대한 의견 - Margosa, ext. : 개미에 대한 방충제로 사용되는 살생 활성 물질, 인체 건강 유해성 및 환경 유해 요인에 대한 의견 - Branched hexatriacontane : 자동차 윤활제 등의 첨가제로 사용됨, 환경 위험에 대한 의견 - Ipconazole (ISO) : 밀과 보리의 살균제로 사용되는 식물 보호제품, 물리적 인페 건강 및 환경적 위험에 대한 의견 - L-(+)-lactic acid; (2S)-2-hydroxypropanoic acid : 화장품 및 위생 제품에 사용되는 살생 활성 물질, 인체 건강 및 환경적 위험에 대한 의견 - 2-methoxyethyl acrylate : - Imiprothrin : 곤충 통제에 사용되는 살생 활성 물질 - 의견은 2017년 4월 28일 23:59 (헬싱키 시간)까지 제출되어야 한다.
일시
2017. 03. 15.
+ 링크
제목
Cosmetics industry backs US FDA lead limit
요약 내용
- 퍼스널케어 제품위원회(PCPC) 는 FDA이 화장품 제품의 납을 10ppm으로 제한하기 위한 지침을 발표했다. 위원회는 이 제한에 대해 “인간에게는 안전하며 업계에서 합리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 그러나 NGO는 더 엄격한 기준을 요구하고 있다. 유방암 기금 및 환경 실무 그룹 NGO는 미량의 납 성분조차도 IQ와 행동 문제를 유발하고 성장기 어린이에게 돌이킬 수 없는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때문에 아동용으로 판매되는 모든 화장품에서 납을 금지할 것과 시장에서 유통되는 납을 포함한 모든 화장품에 납 노출의 위험성에 대해 소비자에게 알리는 경고가 포함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시
2017. 03. 17.
+ 링크
제목
Swedish agency finds forbidden substances in fifth of products
요약 내용
- 2016년 스웨덴에서 약 700개 정도의 제품을 테스트한 결과 18%가 금지된 물질을 허용기준 이상으로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국가 화학물질국 Kemi의 집행부서는 다음의 범주에서 692개 항목을 조사했다 : - 장난감, 육아용품 - 의류, 신발 및 악세사리 - 전기제품 - 건축 자재 및 가구 - 스포츠, 레저 장비 - 화학제품 - 이 중 전기제품에서 가장 많은 물질을 포함하고 있었고 건축 자재 및 가구에서 최저수준이었다.
일시
2017. 03. 20.
+ 링크
제목
Canada reverses conclusion on 73 textile dyes
요약 내용
- 캐나다 정부는 섬유 염료 73개를 평가하는 접근 방식을 변경한 결과 이 물질들이 환경에 유해하다는 잠정 결론을 뒤집었다. - 또 azo disperse dyes 의 최종 선별 평가에서는 1999년 캐나다 환경보호법의 64항에 정의된 것처럼 해를 끼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고 결론지었다. - 수정된 접근 방식은 물질을 분자량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누는데 360g/mol을 기준으로 그 이하8개와 그 이상 65개로 나눴다. 연구진은 물질의 수용해도를 초과하는 농도에서만 영향이 나타났기 때문에 후자는 우려가 없다고 결론지었다.
일시
2017. 03. 20.
+ 링크
제목
Canada provisionally finds 2-ethylhexyl 2-ethylhexanoate harmful
요약 내용
- 캐나다 초안선별검사에서 2-ethylhexyl 2-ethylhexanoate가 해로운 것으로 나타났다. - 이에따라 정부는 이 물질을 ‘toxic’ 으로 지정하고 위험을 관리하기 위한 규제 조치를 발동할 예정이다. - 캐나다에서 이 물질은 얼굴크림이나 풋크림과 같은 화장품에 사용된다
일시
2017. 03. 29.
+ 링크
제목
Canada to regulate formaldehyde emissions in composite wood products
요약 내용
- 캐나다는 합성목재 제품에서 포름알데히드 노출을 줄이기 위한 규제 개발을 시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규정은 2008년 초에 발표될 예정이다. - 작년 캐나다 표준협회는 복합 목재 제품에 대한 포름알데히드 방출 표준을 만든바 있다.
일시
2017. 03. 21.
+ 링크
제목
Denmark imposes formaldehyde limits on new wooden materials
요약 내용
- 덴마크는 가구를 포함해 포름알데히드를 방출하는 새로운 목재 기반 재료의 사용과 판매를 제한하는 입법에 대한 변경을 유럽집행위원회에 통보했다. - 덴마크 정부는 공기 중 0.124mg/m3 이상의 농도로 포름알데히드를 방출하는 목재 기반 재료는 가구 및 관련 부품의 제조에 사용되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고정식 및 이동물체 판매의 경우 농도 제한은 공기 중의 0.134mg/m3다.
일시
2017. 03. 06.
+ 링크
제목
Restriction proposal on four phthalates and several authorisation applications agreed by RAC and SEAC
요약 내용
- RAC는 ECHA와 덴마크가 4가지 프탈레이트 (DEHP, DBP, DIBP and BBP)를 제한하자는 의견을지지한다고 밝혔다. - 위원회는 또한 덴마크가 제안한 TDFAs (3,3,4,4,5,5,6,6,7,7,8,8,8-tridecafluorooctyl)가 포함된 스프레이를 시장에서 제한하자는 의견 또한 지지했다.
일시
2017. 03. 21.
+ 링크
첫 페이지 이동
이전 페이지 이동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다음 페이지 이동
마지막 페이지 이동
--검색--
제목
작성자명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