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생활유해물질 알리미관련기사 국내

국내 Related News - Domestic

제목
장갑 안 낀 마트 계산원 환경호르몬 노출 두 배
요약 내용
- 서울대 보건대학원 최경호 교수팀은 26일 서울 고려대에서 열린 한국환경보건학회에서 발표한 논문을 통해 "장갑을 착용하지 않은 마트 여성 계산원의 업무 후 소변에서는 환경호르몬인 비스페놀A 농도가 작업 전의 두 배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 이번 조사는 서울 등 수도권 대형 마트 7곳의 여성 계산원 54명을 대상으로 업무 시작 전과 후의 소변 시료를 분석한 결과다. - 논문을 보면, 장갑을 착용한 계산원의 소변에서는 업무 전 mL당 0.39ng(나노그램, 1ng=10분의 1g)에서 업무 후 0.49ng으로 약 25% 증가했다. 반면 장갑을 착용하지 않은 계산원은 업무 전 0.45ng에서 업무 후 0.92ng으로 배 이상 증가했다. - 연구진은 "손을 통한 직업적 노출로 인해 소변 중 비스페놀A 농도가 증가한 것"이라며 "입을 거쳐 들어오기보다는 손의 피부를 통해 직접 흡수된 것이 대부분"이라고 설명했다. 비스페놀은 주로 피부를 통해 인체 내에 흡수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마트의 실내공기 속 먼지 등을 채집, 분석했으나 먼지에서는 비스페놀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 한편 노동건강연구소의 오윤희·최인자 연구원은 서울시청과 25개 자치구, 은행 등에서 수거한 영수증·순번대기표·티켓용지 등 62개 감열지 시료를 분석한 결과, 62개 시료 모두에서 1종류 이상의 비스페놀 화합물이 검출됐다고 이번 환경보건학회에서 밝혔다. - 특히 비스페놀A가 검출된 경우는 89.3%인 52개 시료였고, 농도는 0.72~1.65% 수준이었다. 또 비스페놀B가 검출된 경우는 2개 시료(3.2%), 비스페놀S가 검출된 경우는 8개(12.9%)였다.
일시
2017. 05. 26.
+ 링크
제목
유해성 평가조직 EU수준 확대 ‘제2 가습기살균제’ 뿌리 뽑는다
요약 내용
- 정부가 문재인 대통령의 '화학물질 유해성 평가 담당조직 확대' 공약을 이행하기 위해 유럽연합(EU) 사례를 벤치마킹하기로 했다. - 이에 따라 ECHA 벤치마킹을 검토하고 있다. - 최경호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는 지난 22일 시민환경연구소가 주최한 '새 정부 환경·에너지정책의 방향과 과제' 포럼에서 "환경부의 담당기관인 국립환경과학원 전문인력이 부족한 상태에서 화학물질 관리 체계가 아무리 선진화된다고 해도 그 일을 어떻게 할 수 있겠는가"라며 "법령을 철저히 갖춘다 해도 이를 이행할 인적 기반이 없다면 사상누각"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일시
2017. 05. 24.
+ 링크
제목
'죽음의 알갱이' 미세플라스틱, 치약에 사용 못 한다
요약 내용
- 식약처는 23일 '의약외품 품목허가·신고·심사 규정 일부 개정안'을 지난 19일 고시하고 시행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 개정 고시에 따르면 고시 시행일부터 미세플라스틱을 치약, 치아미백제, 구중 청량제 등 의약외품의 첨가제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 이에 앞서 식약처는 지난 1월 중순 '화장품 안전기준 등에 관한 규정' 일부 개정안을 고시해 오는 7월부터 미세플라스틱을 화장품에 사용할 수 없는 원료로 새로 지정했다. 이로써 7월부터는 세안제나 각질제거제 등의 화장품에도 미세플라스틱을 못 쓴다.
일시
2017. 05. 23.
+ 링크
제목
[주목! 이 조례] 화학물질 취급 1위 울산…'알 권리' 보장
요약 내용
- 전국에서 화학물질 취급량이 가장 많은 울산시는 지난 3월 '화학물질 및 위험물질 알권리와 안전관리 조례'를 입법예고했다. - 이 조례는 구청이 화학물질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5년마다 화학물질 안전관리계획을 수립해 시행 하도록 규정했다. 특히 구청장이 화학·위험물질 취급시설에서 사용하는 물질 종류, 허용 저장량, 유해성과 위험성 등에 대한 현황 조사를 할 수 있는 근거조항을 담았다. 화학물질 관리 관련 법령 위반 사업장 공개, 화학물질 안전관리위원회 설치, 지역협의회 구성 등의 조항도 포함됐다.
일시
2017. 05. 21.
+ 링크
제목
법 위반업체 공개...원칙 없는 환경부
요약 내용
- 환경부가 화학물질관리법·대기환경보전법 등 환경 관련법을 위반한 업체를 적발한 뒤 기업명 공개 여부를 놓고 일관된 기준 없이 오락가락하는 모습을 보여 빈축을 사고 있다. - 14일 환경부에 따르면 환경부 환경감시팀과 경기도·포천시는 최근 포천시 일대에서 미세먼지를 불법배출한 상원텍스타일·에스제이섬유 등 사업장 93곳을 적발해 기업명과 위반 내용을 공개했다. - 눈길을 끄는 대목은 환경부가 공개한 위반 유형 가운데 37건의 고발 건이다. 보도자료와 함께 제시한 표에 해당 업체의 이름은 물론 징역·벌금 등 형벌 내용도 명시했다. - 그러나 지난 2월 PHMG를 무허가로 제조·수입·유통한 업체를 적발하면서 기업명을 공개하지 않아 비난을 받은 바 있다. 이에 대해 환경부는 “명단을 밝히는 것은 법적인 어려움이 있다”며 요청을 거부했다. 이후 환경부는 지난달 서울동부지검이 불법 유통업체를 기소한 뒤에야 비로소 명단을 공개했다. - 환경부 관계자는 “PHMG 불법유통 사실을 밝혀낸 중앙환경사범수사단은 수사기관 성격을 갖고 있다”며 “환경부 개별부서는 법을 위반한 업체명을 공개할 수 있지만 수사기관은 그럴 수가 없다”고 설명했다.
일시
2017. 05. 14.
+ 링크
제목
[환경공약,이것부터②] '화학물질 공포' 해결, "가습기살균제 사태 재점검부터.."
요약 내용
- 환경 TV의 문재인 대통령의 환경관련 공약을 짚어보는 특집기획물을 시리즈. - 문 대통령은 대선 출마를 선언할 때부터 유해화학물질로 인한 국민 피해를 적극적으로 차단하겠다고 줄곧 말해왔다. 특히 '가습기 살균제 피해에 대한 국가 책임 인정과 사과'를 공약 전면에 내세우며 살생물제를 관리·감독해야 할 정부의 책임을 거듭 강조했다. - 이에 대해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들과 환경단체, 전문가들은 문 대통령이 제시한 유해화학물질 관련 공약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는 분위기다. - 그러면서 예방책도 좋지만 사태수습을 주문하기도 했으며 살생물제 관련 사안에 대해 환경부 등 정부부처에만 전적으로 맡기지 말고, 대통령이나 총리 직속 위원회를 설치해 좀더 적극적으로 나서줄 것을 촉구했다. - 아울러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들은 문 대통령이 공약으로 약속한 △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 안전관리법(살생물제 관리법) 제정 △‘환경범죄이익 환수법’ 제정 △화학물질 유해성 평가 담당 조직 확대 등도 하루빨리 추진해 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 또 유해화학물질 관리의 재정비를 주문했는데 전문가들은 앞으로는 등록을 통해 독성이 확인된 물질만 사용해 제품을 생산하고, 제품의 안전성을 제품판매 이전에 챙기는 사회가 만들어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일시
2017. 05. 12.
+ 링크
제목
‘가습기 사태’ 막을 화학물질 관리, 차기 정부선 이뤄질까 [출처] - 국민일보 [원본링크] -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743850&code=11151400&cp=nv
요약 내용
- 화평법 개정안을 둘러싸고 기업들은 등록해야 할 화학물질 범위 확대로 인한 비용부담을 우려하는 반면 시민단체들은 기업들이 가습기살균제 참사의 교훈을 벌써 망각했다고 비판하고 있다. - 환경부는 등록이 필요한 물질을 현재 510종에서 7000여종으로 확대하고 이를 어길 경우 피해 여부와 상관없이 매출액 5% 이하의 과징금을 부과하는 규제 기준 강화를 준비하고 있다. 또 기존 800여종이던 위해우려 물질을 1300여종으로 확대하고, 제품에 일정 기준 이상 위해우려 물질이 포함될 경우 환경부 장관에게 신고토록 규정하고 있다. - 이 문제와 관련해서는 대선 전 담시 유보상태였다가 현재까지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 또 기존 800여종이던 위해우려 물질을 1300여종으로 확대하고, 제품에 일정 기준 이상 위해우려 물질이 포함될 경우 환경부 장관에게 신고토록 규정하고 있다.
일시
2017. 05. 09.
+ 링크
제목
[기획] 환경오염에 희생되는 국내 어린이…연간 10만 명당 13.1명 [출처: 중앙일보] [기획] 환경오염에 희생되는 국내 어린이…연간 10만 명당 13.1명
요약 내용
- 중앙일보는 이와같은 기획기사를 통해 환경오염으로 인한 어린이의 위험 노출에 대한 대중의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 WHO가 지난 3월 발표한 ‘지속가능한 세계를 물려주고 있는가?: 어린이 보건과 환경’이라는 제목의 이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에서 환경오염 탓에 사망하는 5세 이하의 어린이는 10만 명당 13.1명으로 세계 31위 수준인 것으로 분석됐다. - 또 WHO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는 5세 이하의 어린이 중 매년 590만 명이 사망하고 있다. 이 가운데 29%에 해당하는 170만 명이 대기오염과 수질오염, 화학물질 노출 등 환경오염 탓으로 사망한다고 지적했다. - 지난해 환경부가 전국 어린이 활동 공간 1만8217곳을 대상으로 점검한 결과, 13.3%인 2431곳이 환경안전관리기준을 위반했다. 일부 어린이 활동공간에서 사용한 페인트나 벽지 등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중금속이 검출되고 있는 것이다. - 또 지난해 국표원이 라콜조치한 대상 제품에는 납과 카드뮴이 기준치를 초과한 신발, 수소이온농도(pH)가 기준치를 넘은 배개·이불세트 등 유아용 섬유제품도 포함됐다. 또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납, 카드뮴이 기준치를 초과한 아동용 섬유제품과 크롬이 기준치를 넘은 어린이용 가죽제품, 카드뮴이 기준치를 초과한 학습완구 등도 있었다.
일시
2017. 05. 05.
+ 링크
제목
“프탈레이트에 많이 노출되면 지능 떨어져”
요약 내용
- 최근 환경부가 서울의대, 삼성서울병원 등 4개 환경보건센터와 개최한 ‘환경보건콘서트’에서 홍윤철 서울의대 환경보건센터장은 “환경호르몬인 프탈레이트에 많이 노출되면 지능지수(IQ)가 10 정도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 프탈레이트에 많이 노출되면 뇌 피질 두께가 얇아지면서 뇌 기능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특히 태만함과 과잉행동이 증가하고, 학습능력과 집중력, 어휘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홍 센터장의 지적이다.
일시
2017. 05. 04.
+ 링크
제목
생리컵에 얽힌 10가지 '진실과 거짓'…국내에도 곧 정식 출시 예정
요약 내용
- 실리콘 소재의 반영구 생리용품 '생리컵'이 국내에 곧 도입될 예정이다. -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여성환경연대에 의뢰해 지난달 국내 여성 102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 식약처 조사에서 생리컵을 사용해본 사람들은 ▲경제적 부담 감소(87.4%) ▲환경보호(85.9%) ▲피부 알레르기 예방(95.4%) 측면에서 만족도가 높다고 답했다. - 또 기자가 식약처와 미국 의학 논문지 ‘여성 건강(Journal of Women’s Health)’, 그리고 국내 생리컵 사용자들의 여러 후기 등을 토대로 생리컵에 대한 ‘진실과 거짓’을 알아본 결과 - 소비자는 생리컵에서 환경 호르몬이 나올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있었다. - 이에 대해 미국에서 생리컵이 FDA의 최종 허가를 받은 제품인 만큼 인체에 안전하다고 설명했다.
일시
2017. 05. 25.
+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