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Home
소개
교수님
연구실 식구들
연구
강의
게시판
생활유해물질 알리미
생활유해물질 알리미
관련기사
국외
생활유해물질 알리미
소개
관련기사
- 국내
- 국외
INNERCs
국외
Related News - International
제목
US state legislatures look to fill TSCA gaps
요약 내용
미국의 최소 21개 주에서 소비자 제품에 대해 우려화학물질에 대한 노출을 줄이기 위한 정책을 올해 안에 도입할 것으로 예상됨. 환경건강연맹을 따르면 적어도 15개 주에서는 어린이 제품, 가구, 매트리스, 전자제품의 난연제를 다두를 법안을 고려하고 있음. 14개 주는 독성 화학물질의 확인 및 공개에 대한 조치를 도입할 것으로 예상됨. 환경보건연합은 물질에 대한 신속한 규제, 독성 화학물질의 사용 장소, 시기 및 양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생성 및 공개, FDA나 CPSC(Consumer Product Safety Commission)의 규제를 받는 제품 중 EPA의 통제를 받지 않는 화학적 위험 요소에 대한 대책 마련을 촉구함.
일시
2017. 02. 09.
+ 링크
제목
New York Senators Ask For Help With 1,4-Dioxane Contamination
요약 내용
지난 달, 뉴욕의 Charles Schumer와 Kirsten Gillibrand 의원은 미국 EPA에 1,4-dioxane의 위험 평가 우선 순위를 매기고 위험평가를 가속화 할 것을 촉구함. 1,4-dioxane은 특정 chlorinated solvents, 페인트 스트리퍼, 왁스의 안정제, 화장품, 샴푸 및 기타 개인 위생용품에서 발견되는 제조 부산물임. 두 의원은 EPA에 모든 노출 경로에서 발암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1,4-dioxane에 노출되면 잠재적으로 간 및 신장 손상 뿐 만아니라 단기적인 면에서 졸음과 눈, 코 염증을 포함한 부작용이 있다고 설명함. 또 최근 통과된 TSCA법안에서는 1,4-dioxane이 사람의 건강과 환경에 잠재적인 위험을 가할 수 있는 10가지 화학물질 중 하나로 평가된다고 설명함.
일시
2017. 02. 08.
+ 링크
제목
US FDA: Amount of perchlorate increasing in food products
요약 내용
FDA의 연구에 따르면 유아 및 유아에게 전통적으로 제공되는 식품을 비롯하여 식품에서 발견되는 perchlorate 양이 증가한 것으로 밝혀짐. 이에대해 NGO 일부는 FDA가 이 물질을 식품 포장 재료로 허용한 것과 관련있다고 여기고 있음. 2008년과 2012년 사이 음식 샘플에서 채취 된 perchlorate 은 2003년에서 2006년 사이의 유사한 표본보다 높았음. 영아의 경우 34%, 유아의 경우 23% 증가함. 이 물질은 식품 용기를 밀봉하고 건조 식품에서 정전기를 줄이기 위한 식품 포장에 사용됨.
일시
2017. 01. 11.
+ 링크
제목
This Cancerous Chemical is Being Commonly Used in Toothpastes
요약 내용
치약에 titanium dioxide이라 불리는 첨가제가 들어 있는데 이는 암을 유발한다는 것이 프랑스 과학자들에 의해 밝혀진 바 있음. 프랑스와 룩셈부르크 과학자들은 이 물질이 섞인 음용수를 마신 40%의 쥐에서 종양이 성장한 것을 발견했으며, 쥐에게 주어진 양은 인간이 음식과 미용 용품을 통해 노출되는 양과 비례함. 연구결과는 또한 이 물질이 면역체계를 약화시켰다는 것을 보여줬으며 이 물질은 혈액을 통과해 장에서 흡수될 수 있음을 확인함. 이 물질은 치약, 비스킷, 껌, 썬 스크림과 같은 제품이 자주 사용됨.
일시
2017. 01. 25.
+ 링크
제목
Cancer-causing chemicals found in children’s nail polish, Hong Kong’s Consumer Council says
요약 내용
어린이 네일 폴리쉬에서 암을 유발하는 물질인 중금속이 발견됐으며 한 경우에는 호르몬교란 물질이 함유된 것으로 밝혀짐. 소비자위원회 (Consumer Council)는 13 가지 브랜드의 네일 폴리쉬를 테스트했으며 그 중 3 가지는 고무 산업에 사용되는 발암성 액체인 벤젠을 포함하고 있으며, 위원화는 또 13가지 샘플 중 11가지에서 잠재적으로 유해한 금속인 납, 비소 및 카드뮴과 같은 중금속을 발견함.
일시
2017. 01. 16.
+ 링크
제목
Health Experts Warn Against These Dangerous Water Bottles
요약 내용
전문가들은 특정 브랜드의 물병에 대해 위험하다고 알려진 것 보다 예상치 못한 성분으로 인해 잠재적으로 위험하다고 경고함. 불소는 최근 몇 년 동안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으며, 관계자는 불소가 신경계통에 유해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함. 불소 노출의 결과는 홍채증과 충치 및 기형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AWM America 가 보도함. 이 질병은 8세 이내의 어린이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데 충치, 치아 황변 및 치아발달의 지연과 같은 증상을 포함함.
일시
2017. 01. 24.
+ 링크
제목
'Toxic substances' found in most nappies sold in France
요약 내용
프랑스에서 판매되고 있는 대부분의 기저귀에 잠재적으로 위험한 화학물질이 포함되어 있다고 소비자 그룹이 밝힘. 화요일에 출간된 보고서에 따르면 6천만명의 소비자 테스터가 테스트한 12개의 기저귀에서 잠재적 발암물질이 발견됨. 일부 기저귀에는 글리포세이트를 포함한 살충제의 흔적이 있었음. 소비자 그룹에 의해 주도된 연구에서는 오늘날 기저귀와 같은 피부에 직접적으로 닿는 제품에 대해 위해평가가 실시되지 않는 점을 지적함.
일시
2017. 01. 24.
+ 링크
제목
UK researcher traces molecular pathways to obesi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요약 내용
과학적 근거의 배열은 심혈관질환(CVD)으로 이어지는 지방과 콜레스테롤 함량이 높은 식품과 동맥의 막힘 사이의 상관관계를 보여줌. 그러나 덜 알려진 CVD의 위험요소는 물병과 같은 소비자 플라스틱 제품의 기본 구성 요소인 BPA화학물에 노출되는 것으로, 인간이 지속적으로 BPA에 노출되는 것은 미국 성인 인구의 CVD와 관련 있을 수 있는데 UK colledge of medicine에서 이러한 사실을 발견할 때 까지 연구자들은 근본적인 매커니즘에 대해 잘 알지 못함.
일시
2017. 01. 03.
+ 링크
제목
New organ culture system reveals effects of BPA exposure on fetal mammary glands
요약 내용
Tufts대학의 과학자들이 개발한 새로운 장기배양시스템은 에스트로겐과 에스트로겐 유사 물질을 포함한 화학물질 노출이 쥐의 유방조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시험할 수 있게 함. 이전의 실험 모델은 오직 화학물질과 레스트로겐의 공동 효과학 측정할 수 있었음. 분석 결과에 따르면 BPA는 천연 에스트로겐이 없을 경우 조직 성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음. 동물 모델의 선행 연구는 태아 유방 조직의 변화가 성인기의 유방암 위험 증가와 관련 있을 수 있다고 제안함. 관련 논문: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244390/
일시
2017. 01. 24.
+ 링크
제목
US workers making BPA have enormous loads of it in them
요약 내용
BPA를 생산하는 미국 회가나 BPA를 함유한 식품 포장 제품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소변샘플을 수집한 결과 근로자의 평균 체형이 일반 대중의 BPA 수준보다 70 배 이상 높았으며 BPA가 피부 접촉을 통해 몸에 흡수 될 수 있다는 사실과 실제로 축적되는 것으로 나타남. 그러나 American Chemistry Council의 Steve Hentges는 "이 연구는 오직 노출만을 조사하기 때문에 BPA가 근로자에게 건강 영향을 초래하는지 평가할 능력이 없거나 신체에 축적 될 수 있는지 평가할 수 없다"고 주장함.
일시
2017. 01. 04.
+ 링크
첫 페이지 이동
이전 페이지 이동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다음 페이지 이동
마지막 페이지 이동
--검색--
제목
작성자명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