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Home
소개
교수님
연구실 식구들
연구
강의
게시판
생활유해물질 알리미
생활유해물질 알리미
관련기사
국외
생활유해물질 알리미
소개
관련기사
- 국내
- 국외
INNERCs
국외
Related News - International
제목
Beer and soda cans found to have traces of bisphenol A in liquer coating
요약 내용
마크 연구에 따르면 14 종류의 음료수 캔 중 8가지가 BPA 또는 BPF를 함유하고 있음. 다른 6 개의 깡통에는 BPA BADGE가 함유되어 있음. 덴마크 소비자위원회 (Danish Consumer Council)의 Think Chemicals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실시 된 이 테스트는 내용이 허용 된 한도에 비해 낮다는 것을 보여 주었지만 과학자들은 칵테일 노출의 칵테일 효과에 대해 우려하고 있음.
일시
2017. 01. 16.
+ 링크
제목
Norwegian study finds low levels of BPA in toys
요약 내용
노르웨이 환경국의 위탁 연구에서 어린이 대상 장난감에서 BPA화합물을 조사한 결과 26개 시료 중 8개에서 BPA가 발견됐지만 기준치를 훨씬 밑 도는 것으로 나타남. 그러나 마이그레이션 분석(migration analysis)이 수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노출위험을 예측할 수 없다고 연구진이 밝힘. 그리고 BPA와 같은 배분비 교란 물질은 어린이가 물건을 입에 넣을 가능성 때문에 우려가 있다고 덧붙임.
일시
2017. 01. 18.
+ 링크
제목
France to set labelling rule for furniture chemical emissions
요약 내용
프랑스는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 (European Commission)에 목재 판넬로 만들어진 가구에 화학물질 배출 관련 정보가 담긴 라벨을 부착하도록 하는 법령 초안을 고지함. 이에 따라 가구 사용에 대한 주의 사항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의무사항이 됨. 관련 조항들은 2020 년 1 월 1 일부터 발효될 예정이며, 이전에 출시된 제품은 발효 예정일의 12개월 이후인 2021년 1월 1일부터 해당 법령의 적용을 받게 됨.
일시
2017. 01. 24.
+ 링크
제목
Canada issues draft screening assessment for formic acid group
요약 내용
캐나다 정부는 포름산 및 포름산염 물질 그룹의 4가지 물질이 현재의 사용 정도에서 인체 건강 또는 환경에 위협이 되지 않다고 결론 내림. 평가 초안에 따르면 formic acid; formic acid methyl ester; formic acid ethyl ester; formic acid sodium salt 다음의 네가지 물질은 위험 수준으로 환경에 유입되지 않음.
일시
2017. 01. 03.
+ 링크
제목
Canada adds three substances to toxics list
요약 내용
캐나다는 독성물질 리스트에 hexanedioic acid, bis(2-ethylhexyl) ester (DEHA), reaction products of 2-propanone with diphenylamine (Prepod), 2-naphthalenol, 1-[[4-(phenylazo)phenyl]azo] (solvent red 23)이 추가되었으며, 이 조치는 물질이 환경 또는 인체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한 위해성 평가를 따름.
일시
2017. 01. 03.
+ 링크
제목
Iarc says 1,2-dichloropropane is carcinogenic to humans
요약 내용
IARC는 1,2-dichloropropane이 1군발암물질이라는 결론을 내렸으며, 이 물질은 1999년 3군 물질로 규정되었음. 또 IARC는 용매 및 중합체 제조에 흔히 사용되는 다음의 네가지 물질( perfluorooctanoic acid (PFOA),tetrafluoroethylene, dichloromethane, 1,3-propane sultone)에 대해 평가한 결과 tetrafluoroethylene은 2A로 조정됨. PFOA는 2B로 분류됐으며 REACH의 SVHC 후보 목록에 올라와 있는데 이는 발암성 보다는 농축성 및 독성 때문임.
일시
2017. 01. 04.
+ 링크
제목
National Academies report lays out new risk assessment process
요약 내용
미국 과학 한림원(The National Academies of Sciences, Engineering and medicine) 은 실험실에서의 동물관찰실험보다 생물학적 경로를 기반으로 한 위험평가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함. 제안된 프로세스는 노출 과학 분야의 새로운 도구 및 접근법에서 향상된 노출정보를 포함함.
일시
2017. 01. 11.
+ 링크
제목
PFOA and PFOS pose immune hazards, says NTP
요약 내용
미 국립독극물프로그램(NTP)은 33개의 인간 연구와 93개의 동물연구와 27개의 시험관/기계적 연구에서 PFOA와 PFOS가 면역독성과 관련있다고 결론내림. 이러한 결정은 동물 연구에서의 ‘높은 수준의 근거’와 인간연구의 ‘적정 수준의 근거’에서 기인함.
일시
2017. 01. 26.
+ 링크
제목
Science committee greenlights CMR for use in cosmetics
요약 내용
The Scientific Committee on Consumer Safety (SCCS)는 처음으로 PHMB의 농도 0.1% 사용에 대해 안전하다는 결론을 내렸으며, 이것은 CMR의 화장품 사용에 대한 첫 번째 의견임.
일시
2017. 01. 18.
+ 링크
제목
US EPA petitioned to order flame retardant testing
요약 내용
미국의 NGO들이 네가지 난연제에 대해 유해성과 노출 테스트를 요구하는 탄원서를 제출했으며, 네가지 난연제는 TBBPA와 TCEP, TDCPP, TCPP임.
일시
2017. 01. 20.
+ 링크
첫 페이지 이동
이전 페이지 이동
121
122
123
124
125
마지막 페이지 이동
--검색--
제목
작성자명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