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Home
소개
교수님
연구실 식구들
연구
강의
게시판
생활유해물질 알리미
생활유해물질 알리미
관련기사
국외
생활유해물질 알리미
소개
관련기사
- 국내
- 국외
INNERCs
국외
Related News - International
제목
US retailer Target to eliminate PFCs, phthalates, parabens
요약 내용
미국 소매점인 타겟은 자신들이 판매하는 물품과 자사제품에 포함된 프탈레이트와 난연제, PFCs, 파라벤을 2020년까지 점차 줄이는 계획을 세움. 이 계획은 화학물질 관리와 (정보의)투명성, 혁신을 담고 있음. 화학물질 관리는 섬유에서 PFCs와 발암물질이나 유해 난연제를 2022년까지 없애는 것과 프탈레이트와 NPEs, propyl-paraben, butyl-paraben, formaldehyde, formaldehyde-donors를 2020년까지 모든 화장품과 유아용픔, 개인용품, 세면용품에서 제거하는 것을 포함함.
일시
2017. 01. 26.
+ 링크
제목
California agency launches BPA database
요약 내용
캘리포니아주 환경보건위해평가국(OEHHA)이 public Proposition 65 website 에 따라 BPA 포함 상품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
일시
2017. 01. 10.
+ 링크
제목
California SCP revises children's sleep products proposal
요약 내용
-캘리포니아의 안전 소비자 용품(California’s Safer Consumer Products, SCP) 프로그램이 난연제 TDCPP 혹은 TCEP이 포함된 foam-padded 어린이 수면용품을 우선순위 상품 목록으로 지정하는 개정 제안서를 제출함.
일시
2017. 01. 03.
+ 링크
제목
US EPA proposes prohibitions on methylene chloride, NMP
요약 내용
EPA는 도료 제거 작업을 위한 염화 메틸렌(dichloromethane) 및 NMP(N-Methyl-2-Pyrrolidone) 용제 사용을 금지 또는 제한할 것을 제안함. 이 제안은 페인트 박리제(Paint Stripper)로 사용되는 염화 메틸렌과 NMP 제조(수입 포함), 처리, 유통 금지의 필요성을 담고 있음. 2015년 NMP 위해성 평가에서는 페인트나 코팅 제거시 신경, 면역, 생식 독성이 특히 임산부에게 유해할 수 있다고 판단한 바 있음. EPA는 또한 2014년 평가에서 염화 메틸렌이 중추 신경계, 간, 신장 독성 및 암을 포함해 근로자와 소비자의 건강에 해를 끼치거나 사망을 유발할 수 있다고 결론 지음.
일시
2017. 01. 13.
+ 링크
제목
FDA Aims to Limit Lead Levels in Lipstick, Other Cosmetics
요약 내용
FDA에서 립 제품을 포함한 화장품을 적용될 수 있는 최대 납 규제에 관한 가이드라인 초안을 발표함. 립 제품에서의 최대 납 허용치를 10 ppm으로 권고함. 이 권고는 립스틱, 립글로즈, 립라이너, 아이섀도우, 블러쉬, 샴푸, 바디로션에 적용될 수 있음.
일시
2016. 12. 22.
+ 링크
제목
EPA reveals first 10 chemicals to be reviewed under a more robust toxic substances act
요약 내용
EPA에서 보다 강력한 독성 물질법 아래 먼저 검토할 10가지 화학물질을 발표하였으며, 해당 화학물질은 1,4-Dioxane, 1-Bromopropane, Asbestos, Carbon Tetrachloride, Cyclic Aliphatic Bromide Cluster, N-methylpyrrolidone, Pigment Violet 29, Tetrachloroethylene, Methylene Chloride, Trichloroethylene임.
일시
2016. 12. 16.
+ 링크
제목
Bisphenol A in canned dog food may increase BPA concentrations in pets
요약 내용
캔 사료를 먹은 반려견의 BPA 수치가 3배 증가해 건강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단 연구 결과를 발표함. 캔 사료를 먹지 않던 14마리의 개를 일반 캔 사료를 먹는 집단과 BPA-free 캔 사료를 먹는 집단으로 나눠 2주간 실험했으며, 그 결과 사료를 먹기전 체내 BPA양의 3배로 증가함. 이는 BPA-free캔 사료를 먹은 개들에게서도 같은 결과로 나타남. 관련 논문: http://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048969716326274
일시
2016. 12. 19.
+ 링크
제목
Pregnant women should AVOID beauty products: Study warns gender-bending chemical BPS can affect mothering instincts
요약 내용
일부 체취 제거제나 립스틱, 향수 등에서 검출되는 BPS에 소량 노출되는 것만으로도 어미 쥐의 새끼 쥐의 요구에 부응하는 능력이 손상되는 것으로 나타남. 어미 쥐가 BPS가 소량 노출되었을 때 새끼 쥐의 10%가 죽게 된다는 사실을 발견, 이들의 모성적 돌봄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한다는 것과 함께 한 집단에서의 새끼쥐 살해 증가를 발견함. 관련 논문: https://academic.oup.com/endo/article-lookup/doi/10.1210/en.2016-1723
일시
2017. 08. 29.
+ 링크
제목
Flavored E-Cig Liquids May Contain Toxic Substances
요약 내용
향이 첨가된 전자담배의 연기에서 독성물질인 aldehyde 종류가 발견됨. 연구팀은 시중에서 인기있는 세 개 브랜드 향과 향이 없는 전자담배 액체를 비교한 결과, 향을 열분해하는 과정에서 aldehyde가 직업안전기준을 초과해 발생함. 관련 논문: http://pubs.acs.org/doi/abs/10.1021/acs.est.6b05145
일시
2016. 12. 02.
+ 링크
제목
Study: Flame retardants found in 15 car seat brands
요약 내용
어린이용 카시트에서 아직도 화학물질이 발견되는 것으로 조사됨. 앞서 시민단체는 어린이용 카시트에서 Flame retardants를 검출한 바 있음.
일시
2016. 12. 14.
+ 링크
첫 페이지 이동
이전 페이지 이동
121
122
123
124
125
마지막 페이지 이동
--검색--
제목
작성자명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