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Home
소개
교수님
연구실 식구들
연구
강의
게시판
생활유해물질 알리미
생활유해물질 알리미
관련기사
국외
생활유해물질 알리미
소개
관련기사
- 국내
- 국외
INNERCs
국외
Related News - International
제목
HBCD added to EPCRA list of toxic chemicals
요약 내용
미국 EPA가 Emergency Planning and Community Right-to-Know Act (EPCRA)에 따라 HBCD(Hexabromocyclododecane)를 독성화학 물질에 추가함.
일시
2016. 11. 28.
+ 링크
제목
Johnson & Johnson faces potential European talc-cancer case
요약 내용
아일랜드 여성 그룹은 존슨 & 존슨의 talc-containing제품이 난소암과 관련 있음을 주장하며 고소를 고려하고 있음. Talc는 자연 형태의 미네랄을 발생시키는데, 이것이 암 유발 물질인 석면을 포함할 수 있음. IARC에서는 talc를 potential carcinogen으로 보고 있지만 ECHA에서는 그렇지 않음.
일시
2016. 11. 28.
+ 링크
제목
'Toys containing lead still sold in the US'
요약 내용
미국에서 한국과 마찬가지로 어린이제품에서 납이 검출된 제품이 계속 판매되고 있음. 미국의 경위 Chemicals of High Concern to Children (CHCC)와 Children's Safe Products Act (CSPA)에 의해 규제되고 있음.
일시
2016. 11. 24.
+ 링크
제목
NIEHS Report Identifies Seven New Carcinogens
요약 내용
HHS는 최근 Report on Carcinogens(2016)에 바이러스 5종과 2가지 물질을 발암물질 리스트에 추가하여, 암 유발인자는 총 248가지가 됨. 새로 추가된 물질은 TCE와 Cobalt, 그리고 기타 5종 바이러스임.
일시
2016. 11. 08.
+ 링크
제목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of EDCs ‘scientifically sound’
요약 내용
Fresenius Academy 주최 국제 회의에서 과학자들은 내분비계장애 물질의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에 대한 합의에 도달했다고 밝힘.
일시
2016. 11. 21.
+ 링크
제목
Reducing exposure to bisphenol A (BPA) lowers levels of this environmental estrogen in women
요약 내용
3주동안 진행된 파일럿 스터디에서 음식과 화장품, 다른 생활용품으로부터의 BPA-containing plastic containers를 피한 여성의 소변에서 BPA 레벨이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이 발견되었으며, 이 여성들에게서 체중 감소 또한 발견됨
일시
2016. 11. 03.
+ 링크
제목
Exposure to phthalates may raise risk of pregnancy loss, gestational diabetes
요약 내용
프탈레이트 노출이 임신 초기 유산, 임신성 당뇨와 관련이 되어 있다는 연구 2편을 소개하고 있음. 첫번째 연구는 256명 여성을 대상으로 수정시기 11개 프탈레이트 대사물질의 체내 농도를 측정한 결과, DEHP같은 타입의 프탈레이트 농도가 높은 여성의 경우 20주 전에 유산이 될 확률이 그렇지 않은 여성에 비하여 60% 높게 나타남. 두번째 연구는 임신 여성의 초, 중, 말기에 걸쳐 측정한 결과 MEP 농도가 높은 여성은 임신 중 과체중 위험이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두배 정도 높게 나타남.
일시
2016. 11. 08.
+ 링크
제목
Shoppers must use their purchasing power to lead green products revolution
요약 내용
가디언즈지는 유해화학물질을 생활 속에서 줄여나가기 위해 정부의 적극적 정책과 소비자 역할을 강조하고 있음.
일시
2016. 11. 10.
+ 링크
제목
Australian supermarkets to remove 'harmful' chemical from antibacterial soaps
요약 내용
호주 일부 대형 슈퍼마켓 체인은 미국의 triclosan 유해물질 결정 이후 자사 항균세정제 제품에 해당 물질을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공표함. 현재 호주에서는 triclosan을 합법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
일시
2016. 11. 21.
+ 링크
제목
Canada proposes risk management approach for triclosan
요약 내용
캐나다 정부는 aquatic environment에서의 triclosan의 predicted no-effect concentration(PNEC)를 376ng/L로 낮추는 것으로 결정함. 정부는 Canadian Environmental Protection Act에서 triclosan을 해양생태계 유독 수준을 'highly toxic'으로 지정하고 있음.
일시
2016. 11. 29.
+ 링크
첫 페이지 이동
이전 페이지 이동
121
122
123
124
125
마지막 페이지 이동
--검색--
제목
작성자명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