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Home
소개
교수님
연구실 식구들
연구
강의
게시판
생활유해물질 알리미
생활유해물질 알리미
관련기사
국외
생활유해물질 알리미
소개
관련기사
- 국내
- 국외
INNERCs
국외
Related News - International
제목
Member states to evaluate 96 chemicals in 2019-21
요약 내용
- Echa는 2019-2021 년 동안 Community Rolling Action Plan (Corap)에 따라 평가 될 96 개의 물질 목록 초안을 발표다. - 이들 대부분은 우려의 원인이 두 가지 이상인 것으로 여겨진다. - 10개는 지속성, 생체 축적 및 독성(PBT) 또는 매우 지속적이거나 매우 생체 축적성 (vPvB)이 있 는 것으로 의심된다. - 6개는 잠재적 발암성이 의심된다. - 6개는 reprotoxic 로 의심된다. - 3개는 잠재적 내분비교란물질이다. - 3 개는 돌연변이 가능 유발물질이다. - 2개는 sensitisers가 의심된다.
일시
2018. 10. 11.
+ 링크
제목
EU adopts restrictions on CMRs in textiles
요약 내용
- 유럽집행위원회는 의류, 섬유, 신발에 사용되는 33가지 발암성, 돌연변이 유발성, 독소 물질에 대한 규제를 채택했다. - 제한 사항은 물질에 대한 최대 농도 제한을 두며 한계점을 초과하는 특정 섬유의 EU시장 진입을 금지한다. - NGO들은 제한의 "limited scope"에 실망을 나타냈다. 위원회는 처음에 286개의 물질을 고려하다 33개로 축소했다.
일시
2018. 10. 11.
+ 링크
제목
Echa’s precautionary principle exercise 'must be broadened
요약 내용
- 덴마크가 예방원칙과 관련해 REACH에 제안한 두 번째 활동은 특히 사전 예방 원칙과 위험 관리 와 관련해 더 광범위해야 한다. - 두 번째 REACH 검토의 조치 지점 10은 유럽 위원회와 함께 Echa가 예방 원칙을 "frame"할 것 을 요구한다. 그것은 다음과 같이 기술한다. - Echa의 위험 평가위원회와 사회 경제적 평가위원회는 과학적 데이터가 위험에 대한 완전한 평가를 허용하지 않을 때 자신의 견해가 나타낼 수 있도록 해야한다. 여기에는 불확실성을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 그러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일정, 그리고 비활동의 잠재적 결과에 대한 평가를 제 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시
2018. 10. 11.
+ 링크
제목
European initiative urges 'uniform and unanimous' nanomaterial definition
요약 내용
- 유럽 5개국은 모든 관련 EU 법률을 검토해 "uniform and unambiguous" 정의를 사용하는 것을 포 함하는 나노 소재에 대한 규제 격차를 해결하기 위한 일련의 권고안을 발표했다. - 독일, 리히텐슈타인, 룩셈부르크, 오스트리아, 스위스가 작성했으며 유럽연합의 환경위원회ㅔ 제출 됐다.
일시
2018. 10. 10.
+ 링크
제목
EU agencies say HBM guidance values open to misunderstanding
요약 내용
- EU 기관들은 인체바이오모니터링(HBM) 프로젝트의 주요 성과가 일반 대중들에 의해 해석될 때 오해의 소지가 있는 것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 ECHA와 Efsa 는 HBM4EU에서 생산된 건강기반 지침 값(health based guidance values, 이하 HBGVs)과 관련된 문제를 지적했다. - 두 기관의 양측 대표는 9월 28일 비엔나 회의에서 정책 입안을 위한 HBM의 장점을 강조하고 프 로젝트의 첫 번째 결과를 발표했다. - HBGVs는 내부농도에 해당되며 그이하의 노출에서는 안전하거나 적어도 낮은 위해성을 보이는 것 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이 값은 Efsa는 일일섭취허용량(TDIs)과 같이 규제당국에서 생산되는 관련 값과 달리, 규제와 연관성이 없다. - 이 프로젝트는 DEHP, Hexamoll Dinch(HBM4EU의 우선물질)의 대체물질인 Phthalate(BASF’s)에 대한 값을 생산했으며, 프로젝트팀은 이 모든 작업을 계획하고 있다. - Efsa의 선임과학자문위원인 Hans Verhagen은 생산된 HBGVs값이 EU규제당국으로부터 승인 받지 못했기 때문에 그 유용성에 의문을 제기했으며 여러 가지 견해로 문제를 복잡하게 만들고 중복된 프로세스를 통해 자원을 낭비 할 위험이 있음을 밝혔다. - Kolossa-Gehring박사는 이 주제에 대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는 사실에 놀라워하며, 그것은 지침 값(Guidance values)이지 한계값(Limit values)은 아니라고 밝혔다.
일시
2018. 10. 10.
+ 링크
제목
California considers change to calculating Prop 65 reprotox exposures
요약 내용
- 캘리포니아 Oehha는 Proposition 65하에 제조사가 생식 독성 물질에 대한 노출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명확한 변화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 이 법에 따르면 기업들은 목록의 ‘safe harbour’ 경계 수준을 초과하는 화학 물질에 노출될 수 있 다는 것을 소비자에게 경고해야한다. - 제안된 변경 사항은 소비자제품에서 생식독성 물질에 대한 예상 노출량을 기업이 어떻게 결정하는 지를 다룬다. 구체적으로는 제품 사용자의 예상되는 사용량 또는 노출 비율의 산술 평균임을 명확 히 밝힌다.
일시
2018. 10. 09.
+ 링크
제목
NGO fragrance report presses for mandatory US ingredient disclosure
요약 내용
- 미국 NGO는 인체 건강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개인 위생 및 세제 제품의 몇 가지 향기 성분에 대해 연방정부에 성분 공개와 엄격한 자발적 화학 물질 관리 정책을 요구했다. - NGO는 semi- and non-targeted chemical analysis methods를 사용해 40개의 청소제품과 100개 이 개인 위생 용품을 다음의 4가지 카테고리로 테스트했다. - » 샴푸 - » 바디로션 - » 향기 제품(향수, 바디 스프레이, 탈취제, 여성 스프레이 및 물티슈) - » 헤어 제품(컨디셔너, 트리트먼트) - 이들은 특히 발암성, 내분비교란, 발달독성과 같은 건강에 악영향을 주는 물질이 제품에 포함되어 있는지 파악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 그 결과 만성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124개의 화학물질의 존재를 확인했다. - 일부 업계는 이 보고서에 오도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는 이유로 이의를 제기했으며 일부는 특정 성분의 존재가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이 있다는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했다.
일시
2018. 10. 09.
+ 링크
제목
NGOs bemoan EU’s ‘sluggish’ 7EAP progress
요약 내용
- NGO들과 소비자 단체들은 제 7차 환경 행동 계획 (Environmental Action Programme)에 따라 유 럽위원회가 화학 물질 관리 정책을 이행하는 진전이 "unsatisfactory" 라고 비판했다. - 7EAP의 평가에 관한 공청회에 제출된 의견에서 그들은 EU가 EDCs 나노 물질을 통제하기 위한 행동 정책을 실행하는 "much too slow" 라고 했다. - 2014년 개시한 이 프로그램은 2020년까지 무역 블록의 환경 정책을 주도하고 있다. 목표는 그 때 까지 모든 관련 SVHC를 REACH 후보 목록에 올려 놓는 것이다. NGO는 현재 상태가 "paralysis" 라고 했다. - EU는 7EAP 하에서 모든 관련 법령, 제품 및 나노 물질의 노출에서 EDC와 관련된 화학 물질 및 안전 문제의 복합 효과를 다루는 접근법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일시
2018. 10. 09.
+ 링크
제목
Risk-based chemicals management approach promoted in new Nafta
요약 내용
- 1년 이상의 험난한 협상 끝에 캐나다, 미국, 멕시코는 화학물질 규제에 대한 위험 기반 접근법을 장려하는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합의에 도달했다. - 협약은 화학물질 및 혼합물 규제에 대한 위험 기반 접근법을 사용하고 국제 포럼에서 이 모델을 장려하기 위해 각국에 촉구한다. 또한 각국이 각자의 법적 틀 안에서 가능한 위해성 평가 방법론 및 위해성 관리 대책을 조정하도록 지시한다. - 협약 회원국 간의 잠재적 협력을 취한 추가 영역은 다음과 같다. - »화학물질의 분류 및 표기를 위한 국제 연합 시스템(GHS)의 이행 - »안전데이터 시트의 조정 및 기밀 비즈니스 정보(CBI) - »화학물질 인벤토리의 호환
일시
2018. 10. 04.
+ 링크
제목
Denmark launches initiative to tackle skin sensitisers
요약 내용
- 덴마크 환경부는 화장품, 보석류 및 세제와 같은 제품에서 피부 민감성 화학 물질로 인한 알레르기 를 줄이기 위한 일련의 새로운 계획을 발표했다. - 이 전략은 취약한 그룹을 해로운 화학 물질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는 2018-2021 년 의 3년짜리 계획의 일부이다. - 환경부는 알레르겐에 대한 새로운 시도가 관련 이해 관계자, 학계 및 소비자 단체의 공헌과 함께 이루어 졌다고 밝혔다. -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 그룹화 된 조치가 포함된다. - »역량 및 노출에 대한 지식; - »알레르기성 평가; - »정보 및 규제 - »우려가 높은 화학 물질 - »이해 관계자 및 기타 기관과의 협력
일시
2018. 10. 04.
+ 링크
첫 페이지 이동
이전 페이지 이동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페이지 이동
마지막 페이지 이동
--검색--
제목
작성자명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