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생활유해물질 알리미관련기사 국외

국외 Related News - International

제목
Academics, NGOs protest TSCA PBT risk review approach
요약 내용
- 비정부기구의 의견에 따르면 미국 EPA는 신속한 위험 관리 조치 대상이 될 5가지 'PBT'물질에 대 해 TSCA 문서에 설명된 접근방식을 허용하면 안된다. - 5가지 물질은 다음과 같다 - »decaBDE; - »hexachlorobutadiene (HCBD); - »pentachlorothiophenol (PCTP); - »tris(4-isopropylphenyl) phosphate (IPTPP); and - »2,4,6-tris(tert-butyl) phenol (2,4,6-TTBP). - NGO들은 EPA의 물질의 사용, 노출경로, 및 위해성을 분석하는 두 개의 문서에 대해 강하게 비판 해 왔다. 이들은 이 문서는 불완전하고, 과학의 상황과 일관되지 않으며, 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결 함ㅎ이 있다고 말했다.
일시
2018. 09. 27.
+ 링크
제목
Efsa working group begins reevaluating BPA
요약 내용
- 유럽식품안전청 실무단이 BPA의 안전성을 재평가하기 시작했다. - 재평가는 2012년부터 올해 10월 중순까지 퍼블리시된 과학적 문서에 집중된다. - 2015년 1월 Efsa는 이 물질이 “어떠한 연령 그룹에서도 식이 노출로 인한 건강염려가 없다”는 과 학적 의견을 발표한 바 있다. 4μg/kg의 허용 가능한 일일섭취량(TDI)을 설정했지만 가장 높은 노 출 추정치는 이 수준보다 3-5배 낮았기 때문이다. - 재평가의 궁극적인 목표는 이 과학적 근거가 여전히 임시TDI를 뒷받침하는 지 결정하는 것이다. - 업데이트된 프로토콜은 논문을 평가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내러티브한 접근방식을 결합한다. 또한 미국의 국립환경과학연구소와 FDA가 개발한 CLARITY-BPA 프로젝트의 정보를 포함할 것이다.
일시
2018. 09. 27.
+ 링크
제목
Nine ”new”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identified
요약 내용
- 덴마크 대학 연구팀은 9개의 새로운 화학물질이 내분비계 장애물질이라는 과학적 근거를 입증했다. - 이 연구는 덴마크 National Food Institute, University of Denmark, and the University of Southern Denmark 등이 참여했으며 덴마크 EPA 프로젝트에서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목록을 수집 하고 있다. 연구진은 수년 동안 EU가 살생물제와 살충제에 대해 정한 기준에 따라 7,000 여개 물 질에 대한 문헌을 검토했다. - 이 리스트에 근거하여 내분비계 교란효과 있음을 나타내는 데이터와 인간과 환경에서 노출될 가능 성이 높은 물질들에 대해 우선순위 목록을 작성했다. - 연구자들은 172개의 우선 순위 목록에서 52개의 물질에 대해 문헌고찰한 다음 EU의 새로운 살균 제 및 살충제 기준에 따라 평가를 거쳐 13개의 물질을 선택했다. - 연구자들은 이 물질들 각각에 대해 사용된 연구의 질을 평가했다. 평가에서 내분비 교란 모드 (mode) 와 해로운 영향 사이의 인과관계가 얼마나 강한지를 고려했다. - 이 연구 결과로 목록에 9개 물질이 작성되었으며 연구자들은 새로운 기준에 따라 내분비계 장애물 질이라고 여겨진다고 밝혔다. - 13가지 물질 중 9가지 물질은 내분비 교란 영향이 있음을 보여주는 견고한 과학적 근거가 있지만 다른 4가지 물질은 기술과 관련해 이용 가능한 지식에 차이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4가지 물질 에 대해 내분비계 교란이 의심되는 것으로 결론내렸다.
일시
2018. 10. 31.
+ 링크
제목
This toxic chemical may be lurking in our homes, new study finds
요약 내용
- 인디애나 대학의 연구는 북미 지역 가정에서 Tri(2,4-di-t-butylphenyl) phosphate or TDTBPP을 발견했다. 이러한 발견은 미국의 화학물질 관리가 명백한 문제가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 TDTBPP는 피부를 통해 흡수되거나 오염된 먼지를 통해 흡입 될 수 있다. 이 물질은 독성 organophosphates 계열의 일부이지만,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진게 많이 없 다. 연구자들은 이 물질이 난연제 또는 제품 가소제로 사용될 수 있다고 알고 있다. - 연구 저자는 우리가 사는 환경 어디에서나 놀란만한 수준의 TDTBPP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그러면 서 잠재적으로 유독한 이 물질의 발견은 미국의 화학물질 관리가 비효율적이라는 예라고 말했다.
일시
2018. 10. 30.
+ 링크
제목
Prenatal exposure to phthalates linked to language delays in children, study says
요약 내용
- JAMA 소아청소년의 새로운 따르면 개인위생용품, 식품가공 및 포장, 가정용 도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프탈레이트는 어린이의 언어 발달 지연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 미국과 스웨덴에서 실시된 이번 연구는 임신한 여성의 프탈레이트 레벨과 그들의 아이의 언어발달 을 조사했다. - 이 연구는 Swedish Environmental Longitudinal Mother and Child, 천식과 알레르기 연구 (SELMA)에 참여한 스웨덴 출신의 963 명의 어린이와 어머니, 미국의 Infant Development and the Environment Study (TIDES)에 참여하는 어머니와 어린이 370명이 참여했다. - 연구 저자 중 한 사람인 Shanna Swan은 “높은 수준의 노출을 보인 산모의 아이의 경우 언어 지연 위험이 그렇지 않은 산모의 아이보다 두 배 높았다”고 밝혔다. - 연구자들은 임신 초기의 산모로부터 소변 샘플을 수집해 프탈레이트 존재 여부를 측정했다. 이후 그들의 자녀가 30개월- 2세가 됐을 때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 어휘 반응은 아는 단어의 갯수에 따라 25미만, 25-50, 50 이상으로 나눴는데 50개 이하는 언어가 지연된 것으로 간주했다. - 그 결과 두 집단 (SELMA 아동 96 명과 TIDES 아동 37 명)의 10%가 50단어 미만의 어휘 지연을 보였다. 스웨덴 어린이 26명과 미국 어린이 10명은 25단어 미만을 사용했다. - Swan교수는 이 연구에서 dibutyl phthalate and butyl benzyl phthalate이 두 개의 bad actors 라 고 했다. 그는 미국 코호트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지만 두 집단의 결과는 서로 일관성이 있고 서로를 지지한다고 말했다. 통제변수는 아이의 나이, 어머니의 나이 및 교육수준과 같은 것 이었다.
일시
2018. 10. 29.
+ 링크
제목
Scientists discover traces of controversial weed killer in popular pet food
요약 내용
- 몇 가지 주요 브랜드의 고양이와 개 사료에서 살충제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는 연구가 나왔다. - 뉴욕 코넬대학교 연구원은 IAMS premium puppy food, Pedigree adult complete Nutrition, and Cesar Home Delight Beef Stews 등을 포함한 18가지의 사료에서 라운드업의 주성분인 글리포세이 트를 소량 발견했다고 밝혔다. - 18개의 사료는 모두 야채와 고기 혼합이었고 이 중 한 개 제품은 GMO-free 였다. - 연구자들은 글리포세이트가 애완동물에게 미치는 영향을 판단할 수 있는 충분한 자료가 없기 때문 에 인간에 대한 지침을 벤치마크로 활용했다. EPA가 권장하는 글리포세이트 한계는 30ppm이다. - 연구자들은 계산 도구를 사용하여 개 노출 중앙값이 미국 성인 한계값의 0.7%를 넘지 않을 것 이 라고 했다. - 결과는 모든 제품이 80 – 2,000㎍ 의 글리포세이트 범위의 농도를 갖고 있었다. 이것은 발견된 수 치가 0.08ppm-2.0ppm 사이에 있음을 의미하며 허용된 수치보다 수천 배 낮은 것 이다. - 그러나 연구진은 GMO-free 제품에서 글리포세이트가 검출된 사실에 놀랐다.
일시
2018. 10. 26.
+ 링크
제목
Experts Caution Study on Plastics in Humans Is Premature
요약 내용
- 오스트리아 과학자들이 인간의 대변에서 플라스틱 조각을 발견해 미세플라스틱의 첫 인체유입 사례 로 발표됐지만, 전문가들은 신뢰할만한 결론을 도출하기에는 표본이 너무 작고, 이르다고 경고했다. - 오스트리아 환경청과 빈 의과대학 연구원들은 23일 의회에서 파일럿 결과를 보고하면서 유럽과 러 시아, 일본의 자원자 8명에게서 채취한 대변에서 9종의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 연구팀은 미세플라스틱의 유입경로를 확인하지 못했지만 조사 대상자들이 쓴 일기에는 대변 샘플 채취 전 일주일간 플라스틱으로 포장된 음식을 먹고 플라스틱병에 담긴 음료를 마신 것으로 돼 있 다. - 독일 녹색당의 대표는 이번 연구가 "a further alarm signal"라며 화장품의 마이크로 플라스틱 사용 을 금지하고 플라스틱 포장재 사용도 대폭 줄여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 그러나 전문가들은 사람의 대변에서 마이크로 플라스틱이 검출된 것은 놀라운 일은 아니며, 이번 연구에 하자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 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의 환경 독물학자인 Martin Wagner 부교수는 "It's small scale and not at all representative," 라고 했다. - 그는 이번 연구결과가 동료 과학자에 의해 객관적으로 검토되지 않았으며, 논문 저자도 샘플이 오 염되는 것을 막기 위해 취한 조치들에 관해 밝히지 않았다는 점 등을 문제로 들면서 "최악의 경우 검출된 마이크로 플라스틱이 모두 연구소에서 나온 것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 플라스틱과 기타 합성물질이 인체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해온 Wagner 박사는 마이크로 플라스틱이 대장에서 검출됐다고 해도 이것이 인체에 유입됐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했 다. 인간이 섭취하는 다른 물질과 달리 마이크로 플라스틱은 대장의 세포가 흡수하기에는 너무 커 단순히 대장을 통과했을 수 있다는 의미다. - 호주 뉴사우스 웨일스 대학의 마이크로 플라스틱 전문가인 Mark Browne 박사도 이번 연구가 중 요한 세부사항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 그는 "오염에 대한 허술한 관찰이 과학적 방법에 도달하지 못해 내 짧은 소견으로는 (이번 연구결 과가) 마이크로 플라스틱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넓히거나 마이크로 플라스틱을 관리 해 나가는 데 있어 도움이 되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했다. - 이와 관련, 오스트리아 연구팀도 "마이크로 플라스틱이 인체에 미치는 잠재적 위험을 평가하려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인정하고 있다.
일시
2018. 10. 24.
+ 링크
제목
Scientists discover plastic in faeces of every person who took part in Europe-wide study
요약 내용
- 오스트리아환경청(EAA)과 Medical University of Vienna가 유럽과 일본, 러시아 국적자 8명을 대 상으로 진행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조사 대상자 전원의 대변에서 마이크로플라스틱이 검출됐다. - 연구결과 10가지의 다양한 플라스틱 유형을 찾는 이번 조사에서 최대 9개의 다른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 미세플라스틱의 크기는 50~500㎛로 파악됐다. 가장 다빈도인 것은 polypropylene (PP)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이었다. - 파일럿 테스트는 영국, 핀란드, 이탈리아, 네덜란드, 폴란드, 러시아 및 오스트리아에서 모집했고 모 두 채식주의자가 아니었고 이들 가운데 6명은 해산물을 먹었다. 이들은 보통사람들처럼 플라스틱 재질의 포장지에 들어있는 음식을 먹었고 플라스틱병에 든 음료를 마셨다. -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인류의 50% 이상이 대변에 미세플라스틱을 함유하고 있을 것 으로 추정된다"면서 "이를 뒷받침할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요크 대학교의 환경전문가인 Alistair Boxall 교수는 "마이크로 플라스틱은 수돗물, 생수, 생선, 혼합 조직, 심지어 맥주에서도 발견된다“고 했다. 또한 ”우리는 집 먼지, 식품 포장재 및 플라스틱 병 사 용으로 인한 입자에 노출될 것이므로 적어도 이러한 것들 중 일부는 우리의 폐 및 소화시스템에 침투할 수 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일시
2018. 10. 23.
+ 링크
제목
Your sea salt likely contaminated with microplastics, new study finds
요약 내용
- 새로운 환경 연구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판매되는 소금의 90%가 마이크로 플라스틱을 함유하고 있 다. 바다 소금(Sea salt)에서 농도가 가장 높았다. - 조사 대상 소금은 한국의 3개 브랜드를 포함해 독일, 미국, 베트남, 벨라루스, 불가리아, 브라질 등 지에서 생산되거나 소비되고 있는 소금이다. 39개 중 28개는 바다에서 얻은 Sea salt이며 9개는 rock salt, 2개는 lake salt 였다. 이 중 36개가 플라스틱 조각으로 오염되었다. - 그린피스는 현재까지 한정된 지역 소금의 미세플라스틱 오염 현황에 대한 연구는 있었지만 전 지구 적 규모의 지역별 소금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밝혔다.
일시
2018. 10. 18.
+ 링크
제목
How mosquitoes are spreading microplastics from the water into the air
요약 내용
- 미세플라스틱이 모기와 같은 곤충을 통해서도 육상의 먹이사슬을 위협할 수 있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 미세플라스틱은 지금까지 강이나 바다로 흘러들어 주로 해양 생물을 매개로 한 먹이사슬 을 위협하는 것으로만 알려졌는데 새로운 오염경로가 확인된 것이다. - 연구진은 모기 유충이 미세 플라스틱을 먹고 성충이 되어서도 이를 체내에 갖고 있는 것을 발견했 다. - 이는 모기가 새나 박쥐, 잠자리 등에 잡아먹히면서 육상 생물의 먹이사슬도 미세플라스틱으로 오염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연구팀은 적혈구 크기의 미세플라스틱 알갱이에 녹색과 황색 형광물질을 입혀 모기 유충이 있는 비 커에 넣고 성장 과정을 살펴봤다. - 그 결과, 모기 성충의 신장(콩팥)에 해당하는 '말피기관'에서 이 형광물질을 확인했다. 이는 모기가 성충이 되더라도 유충 때 먹은 미세플라스틱이 체내에 남아있을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다.
일시
2018. 10. 11.
+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