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Home
소개
교수님
연구실 식구들
연구
강의
게시판
생활유해물질 알리미
생활유해물질 알리미
관련기사
국내
생활유해물질 알리미
소개
관련기사
- 국내
- 국외
INNERCs
국내
Related News - Domestic
제목
원안위 “까사미아 일부 매트에서 기준치 초과 라돈 검출”
요약 내용
- 가구업체 까사미아에서 만든 일부 매트에서 법정기준치 이상의 라돈이 검출됐다. 앞서 폐암유발 물 질인 라돈이 대진침대 매트리스에서 발견된 데 이어 두번째다. 까사미아는 결함 제품을 한 달 안에 모두 수거할 방침이다 - 원안위는 까사온 메모텍스 토퍼 3개와 베개 10개를 받아 조사했다. 그 결과 토퍼 2개와 베개 1개 에서 나온 방사선 피폭선량이 법정기준치를 초과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토퍼 2개의 피폭선량은 각각 연간 1.52mSv와 1.41mSv였고, 베개 1개의 경우 2.03mSv인 것으로 분석됐다. 원안위는 토퍼 와 베개에 원인 물질인 모나자이트가 소량 첨가됐을 것으로 보고 모나자이트 유통경로도 조사할 계 획이다
일시
2018. 07. 30.
+ 링크
제목
올리브영 "화장품·생리대 성분 꼼꼼히 따지는 소비자 늘었다"
요약 내용
- 국내 1위 헬스앤뷰티 스토어 올리브영은 올해 상반기 매출을 분석한 결과 '착한 성분'을 앞세운 중 소 화장품 브랜드가 급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3일 밝혔다 - 마녀공장·셀퓨전씨·이즈앤트리·아임프롬 등 저자극 자연 유래 성분을 내세운 화장품 브랜드의 상반 기 매출은 지난해 하반기보다 200% 증가했다 - 지난해 생리대 유해물질 논란이 불거지면서 유기농 제품도 약진했다 - 영국산 유기농 생리대 브랜드인 나트라케어는 일반 생리대보다 가격대가 높은데도 위생용품으로는 처음으로 올리브영 전체 매출 10위권에 자리 잡았다 - 올리브영은 "성분을 꼼꼼히 확인하는 '체크슈머'(점검한다는 의미의 '체크'와 소비자를 뜻하는 '컨슈 머'를 합한 말)가 부쩍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일시
2018. 07. 23.
+ 링크
제목
상반기 화제의 구글 검색어 1위 '미세먼지'
요약 내용
- 2일 구글은 올해 상반기 검색이 많은 키워드를 선정해 발표했다. 지난해 하반기 대비 검색량이 많 이 증가한 키워드를 집계한 순위다. PC와 모바일 결과를 합산했으며 단순 웹사이트 이름, 일부 성 인 검색어는 제외됐다 - 그 결과 국내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찾은 검색어는 ‘미세먼지’였다. 지난해 하반기 12위였던 ‘미세 먼지’는 올 상반기 1위로 올랐다. 구글코리아 측은 ‘미세먼지 문제에 대한 국민적 관심 증가를 엿볼 수 있다’며 ‘외출 전 구글을 통해 미세먼지 상태를 미리 점검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일시
2018. 07. 02.
+ 링크
제목
2016년 화학물질 배출량 전년보다 6.5%↑…발암성물질 17.6%↓
요약 내용
- 우리나라에서 2016년에 배출된 화학물질이 2015년보다 6.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체 발암 성 물질은 17.6%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 환경부는 3천732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2016년도 화학물질 배출량을 조사한 결과 2015년보다 6.5% 증가한 5만7천248t의 화학물질이 대기, 수질 등으로 배출됐다고 31일 밝혔다 - 물질별로는 자일렌(29%), 톨루엔(15.7%), 아세트산에틸(9.5%), 메틸에틸케톤(7.4%) 등 4개 화학물 질이 전체 배출량의 61.6%를 차지했다 - 국제암연구기관(IARC)이 분류한 발암성 물질(벤젠 등 54종) 배출량은 전체의 14%인 8천11t이다. 발암성 물질은 그룹1(인체 발암성 물질), 그룹2A(인체 발암성 추정물질), 그룹2B(인체 발암성 가능 물질)로 구분된다 - 그룹2A는 19.7% 증가(145t→174t), 그룹2B는 5.9% 증가(6천515t→6천902t)했으나, 그룹1은 17.6% 감소(1천135t→936t)했다
일시
2018. 07. 31.
+ 링크
제목
아이들은 줄고 성조숙증은 증가...조기 진단이 중요하다
요약 내용
- 소아‧청소년 인구는 계속 줄어드는데, 성조숙증 환아 수는 계속 늘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최 근 5년간 성조숙증 증가율이 지역에 따라 220%를 넘어선 곳도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 하이키한의원 성조숙중연구소 박승찬(사진 왼쪽) 박사 연구팀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빅데이터를 근거로 최근 5년간 성조숙증으로 진료를 받은 소아청소년을 조사한 결과 이 같이 확인됐다고 26일 발표했다 - 조사결과 최근 5년간 성조숙증 진료건수는 2013년 6만6395건에서 2017년 9만5524건으로 144%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만 18세 이하 국내 소아‧청소년 인구는 1085만3649명에서 973만9623명으로 10.3%가 감소했다 - 아이들 수는 줄어드는 반면 성조숙증으로 치료가 필요한 아이들 수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셈 이다 - 2017년을 기준으로 소아‧청소년 인구 대비 성조숙증 환아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100명당 1.8명을 기록한 대전시다. 그 다음으로는 서울, 대구 순으로 확인됐다
일시
2018. 07. 26.
+ 링크
제목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인정범위 넓힌다…특별법 국회 통과
요약 내용
-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의 범위를 확대하는 법안이 국회를 통과했다 - 국회는 26일 본회의를 열고 '가습기 살균제 피해구제를 위한 특별법 개정안'을 가결했다 - 개정안은 역학조사, 가습기 살균제 노출 정도 등에 대한 구제계정운용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구제급 여에 상당하는 지원이 필요하다고 인정받은 사람도 피해자로 본다는 내용을 담았다
일시
2018. 07. 26.
+ 링크
제목
페인트, 아세톤에 노출되면 다발성 경화증 발병률 높아져
요약 내용
- 미국신경과학회에서 진행한 최근 연구에 의하면, 다발성 경화증과 관련된 유전자를 가진 사람들이 유기용매에 노출된 경우 다발성 경화증에 걸릴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밝혀졌다 - 연구진은 최근 스웨덴에서 다발성 경화증을 진단받은 환자 2,04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동일한 연령과 성별의 일반인 2,947명을 다발성 경화증 환자와 연결했다. 혈액검사를 통해 다발성 경화증의 지표인 두 가지 사람백혈구항원(HLA) 변이를 조사했다. HLA 변이에는 HLA-DRB1 유 전자가 포함돼 있으며, 이는 다발성 경화증의 유전 인자와 강력하게 관련이 있다 - 연구진은 유기용매와 페인트, 광택제 노출에 취약성을 확인하기 위해 두 피험자 그룹을 인터뷰했 다. 혈액검사와 설문조사 분석 후 유전자와 유기용매 노출, 흡연 습관을 근거로 피험자를 구분했다 - 다발성 경화증 유전자가 없고 유기용매에 노출된 경험도 없는 비흡연자 그룹의 경우 다발성 경화증 에 걸린 사람은 139명이었고, 525명은 걸리지 않았다. 반면 다발성 경화증 유전자가 있으며, 유기 용매에 노출된 경험이 있는 비흡연자 그룹에서는 34명이 다발성 경화증에 걸린 반면, 나머지 19명 은 걸리지 않았다. 또한, 다발성경화증 유전자가 있으며, 유기용매에 노출된 경험이 있는 흡연자 그 룹에서 40명이 걸린 반면 나머지 5명은 다발성 경화증에 걸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일시
2018. 07. 17.
+ 링크
제목
“동물실험 대체하는 컴퓨터, 화학독성 예측 정확도 더 높아”
요약 내용
미국 존스홉킨스대학 동물대체시험연구센터의 토머스 하퉁(Thomas Hartung) 교수 연구진은 화학물질 독성 관련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의 일종인 ‘기계학습(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해 동물실험 없이 알려지지 않은 화학물질의 독성을 예측할 수 있는 컴퓨터 알고리즘과 모형을 개발했다며 그 결과를 국제저널 <독성 과학(Toxicological Sciences) >에 발표했다. ‘(화학)구조 활성 관계의 교차해석’이라 는 의미의 약자 ’라자르(RASAR, Read-Across Structure Activity Relationship)로 불리는 이 알고 리즘과 모형은 실제 동물실험의 결과에 비견될 만한 또는 능가할 수 있는 정도의 높은 예측 신뢰 도를 갖추었다고 연구진은 보고했다
일시
2018. 07. 16.
+ 링크
제목
종이영수증 종말 다가온다! ... 정부 사업비 영수증 폐지
요약 내용
- ICT기금사업 관리기관인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원장 서석진, 이하 KCA)은 오는 7월부터 사업 수행기관이 현장점검이나 사업비 정산을 위해 종이영수증을 보관하거나 제출하지 않아도 된다고 밝 혔다 - 이는 5월 24일 이낙연 국무총리가 주재한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 안건인 '행정서비스·영업 전반의 온라인 전자문서 규제 혁신방안'을 통해 의결된 종이영수증 보관 폐지를 선도적으로 적용한 것이다
일시
2018. 07. 02.
+ 링크
제목
환경부 "공공기관 일회용컵 금지"… 국토부 "공항 보안봉투 없앤다"
요약 내용
- 정부 부처가 잇따라 '일회용품 줄이기'에 나섰다. 국내 주요 공항에서 최종 목적지 공항까지 한 번 에 가는 직항편을 이용할 경우 액체류 면세품을 보안 봉투(투명 비닐·사진)에 넣지 않아도 되도록 관련 규정 개정을 추진 중이라고 국토교통부가 1일 밝혔다. 환경부는 정부 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 사무실에서 일회용 컵 사용 금지 등 내용을 담은 '공공부문 1회용품 사용 줄이기 실천 지침'을 1일 발표했다
일시
2018. 07. 02.
+ 링크
첫 페이지 이동
이전 페이지 이동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페이지 이동
마지막 페이지 이동
--검색--
제목
작성자명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