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Home
소개
교수님
연구실 식구들
연구
강의
게시판
생활유해물질 알리미
생활유해물질 알리미
관련기사
국내
생활유해물질 알리미
소개
관련기사
- 국내
- 국외
INNERCs
국내
Related News - Domestic
제목
1인당 하루에 버리는 쓰레기 929.9g…“아직 더 줄일 수 있다”
요약 내용
- 인당 929.9g. 한국인들이 매일 버리는 쓰레기 양이다. 음식물 쓰레기가 가장 많고, 종량제봉투에 넣 어 버리는 것들도 절반 이상은 재활용할 수 있는 것들이다 - 환경부는 2016년 9월부터 10개월간 전국 주택가와 제조시설, 음식점 등 4380곳의 종량제 봉투를 직접 뜯어보며 조사한 ‘5차 전국폐기물 통계조사’ 결과를 29일 발표했다. 폐기물정책의 기본자료로 쓰이는 이 조사는 1996년부터 5년마다 하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 국민 한 사람이 하루에 버리는 생활폐기물의 양은 평균 929.9g으로 나타났다. 음식물 쓰레기가 40%인 368g이었다. 재활용품으로 분류해 내놓은 것이 306.5g(33%)이었고, 종량제봉투에 255.4g(27%)을 넣어 버렸다 - 종량제봉투에 담긴 쓰레기 중에는 종이류(28.5%)가 가장 많았다. 화장지(21.1%)와 플라스틱 (20.8%), 음식물(4.8%)도 많이 담겼다. 종이, 플라스틱, 유리, 금속, 건전지 등 재활용할 수 있는 자 원이 종량제봉투 쓰레기의 53.7%를 차지했다. 음식물을 일반 쓰레기와 분리해 내놓는 비율은 93.6%였다. 2013년부터 전국적으로 시행된 음식물쓰레기 종량제가 자리를 잡은 것으로 보인다. 음 식물 쓰레기 중에선 채소류가 32.9%로 가장 많고, 곡류(25.0%), 어육류(16.3%), 과일류(13.1%) 순 이었다
일시
2018. 03. 29.
+ 링크
제목
발암물질 배출 저감 위한 국제 심포지엄 개최
요약 내용
- 발암물질 배출 저감을 위한 국제심포지엄이 개최됐다 - 더불어민주당 강병원 국회의원은 29일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에서 환경부와 함께 발암물질 배출저 감제도 도입을 위한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 이번 심포지엄은 지난 2017년 11월에 개정된 ‘화학물질관리법’에 따라 2019년 11월부터 본격적으 로 도입되는 ‘발암물질 저감계획서 공개제도’의 해외 운영사례를 공유하고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 기 위해 마련됐다 - ‘발암물질 저감계획서 공개제도’란 벤젠, 트리클로로에틸렌, 크롬 등 인체 유해성이 매우 큰 발암물 질을 일정 기준 이상 배출하는 사업장을 대상으로 매 5년마다 저감계획서를 작성하고 지역사회 등 에 공개하여 자발적으로 발암물질을 줄여나가는 제도다 - 이번 심포지엄에는 미국 메사추세츠주 독성물질저감법 연구기관 튜리(TURI)의 수석연구원 팸 엘리 아슨(Pam Eliason)과 캐나다 온타리오주 독성물질저감제도 컨설팅기관(WSP Canada Inc.)의 수석 환경컨설턴트 와세프 자밀(Wasef Jamil)이 참석하여 각각 해외 제도운영 사례를 발표했다 - 심포지엄은 1990년부터 독성물질저감법(Toxics Use Reduction Act)을 제정하여 운영하고 있는 미 국과 2009년부터 운영 중인 캐나다의 사례를 살펴보는 주제발표와 함께 6명의 전문가 및 관계기관 이 참여하는 지정토론으로 진행됐다. 학계, 정부부처 및 공공기관, 산업계, 시민사회 등 화학물질 배출량 보고 및 저감과 관련된 관계자 약 100여 명이 참석해 성황리에 진행됐다
일시
2018. 03. 29.
+ 링크
제목
[단독]수입생수에 미세플라스틱… 환경부 조사 나선다
요약 내용
- 최근 해외에서 미세플라스틱(지름 5mm 이하)이 검출돼 논란을 일으킨 일부 수입 먹는 샘물(생수) 에 대해 정부가 수거 검사를 검토하고 있다. 수입 먹는 샘물은 최근 10년 새 국내 판매량이 10배 이상 늘었지만 미세플라스틱 검출 여부는 정식 검사 항목에서 빠져 있다 - 환경부 관계자는 25일 “지난해 일부 국산 먹는 샘물 제품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된 원인을 상반 기 중 추가 조사할 방침”이라며 “해외 동향을 감안해 (검사 대상에) 수입 제품도 포함시키는 방안 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 환경부는 지난해 11월 국산 먹는 샘물 제품 6종을 조사해 이 중 1종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지 만 극미량(1L당 0.2개)이라서 우려하지 않아도 된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미국 프리도니아 뉴욕주립 대 연구팀이 최근 미국 등 9개 국가에서 판매하는 에비앙과 산펠레그리노 등 먹는 샘물 제품 11종 259개 제품을 조사한 결과 무려 242개 제품(93.4%)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고 발표하면서 수 입 제품에 대한 불안이 커지고 있다 - 환경부에 따르면 국내에서 판매된 국산 먹는 샘물은 2003년 1879억 원 규모에서 2013년 4951억 원 규모로 2.6배로 늘었다. 같은 기간 수입 제품의 판매량도 23억 원에서 247억 원으로 10배 이상 으로 급증했다. 이후 판매량은 정부가 공식 집계하지 않았지만, 시장 조사 업체는 2016년 기준 수 입 생수 시장이 670억 원 규모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 먹는 물의 수질 검사 항목에는 대장균 등 미생물과 납, 수은 등 유해물질 66종이 포함돼 있지만 미 세플라스틱은 건강에 미치는 유해성이 명확하지 않다는 이유로 빠져 있다. 학계에선 플라스틱 조각 이 주변 오염물질을 흡착하는 성질이 있어 몸속에 미세플라스틱이 쌓이면 광범위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일시
2018. 04. 06.
+ 링크
제목
KEA, '유해물질 프리 ICT 제품 기술문서개발 밀착지원' 추진
요약 내용
-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KEA)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함께 ICT·전기전자 수출 중소·중견기업 의 유해물질규제(RoHS) 대응을 위한 ‘유해물질 프리 ICT 제품 기술문서개발 밀착지원’과 ‘프탈레 이트 시험분석 지원’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 ’프탈레이트 시험분석 지원‘은 2019년 7월부터 EU RoHS2에서 사용제한 물질로 추가되는 프탈레 이트 4종이 ICT·전기전자 제품에 사용되는 현황을 파악하고 기업들에게 대응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추진된다 - 전기전자제품에 특정 유해물질(납, 카드뮴, 수은, 6가크롬, PBBs, PBDEs)의 사용을 금지하는 제품 환경규제는 EU에서 2005년에 처음 도입된 이후 현재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중국, 일본, 북미, 동남 아시아, 중동 등 대부분의 지역에서 시행중이다 - 그러나 유해물질 규제는 제품의 물질정보 및 공급망 관리, 시험분석, 기술문서작성 및 자기적합성 선언 등을 체계적인 프로세스를 통해 대응해야 하는 만큼 중소기업이 대응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일시
2018. 03. 27.
+ 링크
제목
신창현 "환경부, 동물실험서 CMIT·MIT 유해성 확인 못해"
요약 내용
-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신창현 의원은 21일 가습기 살균제의 유해성분으로 알려 진 CMIT·MIT(클로로메틸이소티아졸리논·메틸이소티아졸리논)에 대한 정부의 동물 흡입실험 결과 폐섬유화와의 연관성 등 유해성을 확인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 신 의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환경부가 안전성평가연구소에 의뢰해 2016년 8월부터 지난해 12 월까지 진행한 '가습기 살균제 피해규명을 위한 흡입 독성평가와 원인규명기술 개발' 연구결과를 공 개했다 - 신 의원은 "폐 기저질환을 가진 고위험군에 대한 CMIT·MIT 영향 시험에서는 폐섬유화의 상대적 중증도 증가(2배)가 관찰되기는 했지만, 악화 가능성이 확인된 노출 조건인 권장사용량의 약 277배 적용과 관련해선 현실성에 의문이 제기됐다"고 말했다 - 이어 "가습기 살균제 성분의 태아에 대한 독성학적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생식독성시험'에서도 모 체와 태아에게서 의미 있는 변화나 영향은 확인하지 못했으며 체내이동 가능성 또한 확인하기 어렵 다고 한다"고 전했다 - 그는 다만 "동물실험에서 확인되지 않았어도 사람에게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면서 "환경부가 CMIT·MIT로 인한 폐 손상의 위해성을 이미 인정한 만큼 CMIT·MIT 사용자에 대한 피해구제는 변함이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일시
2018. 03. 21.
+ 링크
제목
생리대 건강영향조사 한다…환경부, 내주 본격 착수
요약 내용
- 15일 환경부에 따르면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은 이번 주 안에 환경부와 생리대 건강영향조사를 위 한 수의계약을 마치고 다음 주부터 첫 조사 일정에 들어간다 - 이번 조사는 정밀조사를 앞두고 시행되는 시범조사다. 조사는 오는 6월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 시범조사에는 생리대 사용 경험과 그에 따른 피해 증상을 묻는 설문조사를 비롯해 조사 대상자 선 정 기준 마련을 위한 절차가 진행된다 - 환경부는 시범조사가 끝나면 7월부터는 정밀조사에 들어간다. 이 단계에서는 생리대와 건강피해 간 의 인과성 규명과 추적조사가 시행된다 - 환경부 관계자는 "정밀조사 기간은 기본적으로 1년을 잡고 있다"며 "정밀조사가 끝나면 생리대와 건강피해에 인과 관계가 있는지 없는지, 아니면 현대 의학으로는 규명할 수 없는지 결론이 나올 것 "이라고 말했다 - 그러면서 "정밀조사 결과와 관계없이 장기적으로 여성용품으로 인한 건강피해를 줄이는 방향의 중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일시
2018. 03. 15.
+ 링크
제목
‘소독·방충제 사전승인’ 내년 1월 시행
요약 내용
- 제2의 가습기살균제 사고’를 막기 위해 모든 살생물 물질과 살생물 제품은 안전성이 입증돼야 유통 을 허용하는 사전승인제가 도입된다. 무독성·친환경 등 제품 안전에 대해 소비자가 오해할 수 있는 일체의 표시·공고가 금지된다 - 환경부는 13일 이 같은 내용의 ‘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살생물제관리 법)을 제정, 오는 20일 공포한다고 밝혔다. 국내 유통 화학물질의 관리를 강화한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화평법)도 개정됐다. 제·개정 법률은 내년 1월 1일부터 시행된다
일시
2018. 03. 13.
+ 링크
제목
“공개하면 뭐하나” 환경부 초록누리 사이트 이용 불편 호소
요약 내용
- 환경부가 운영하는 생활환경 안전정보 시스템 ‘초록누리’에 대한 이용자들의 불만이 쇄도하고 있다 - 12일 환경부는 세정제, 섬유유연제 등 위해우려제품 1037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45개 업체 72 개 제품이 안전 및 표시기준을 위반했다고 밝혔다 - 그러나 초록누리 사이트에는 이용 불편을 호소하는 항의가 빗발쳤다. 정작 필요한 정보인 환불 대 상 제품 목록을 첫 화면에 게재하지 않은 것은 물론, 이용자가 직접 제품명을 검색하더라도 어려운 화학물질의 이름이 적혀 있어 해당 제품의 유해성을 파악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 초록누리 홈페이지 개선의견란에는 “필요한 정보를 찾기 힘들다”,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등의 비판이 쏟아졌다 - 환경부는 초록누리 사이트의 공지를 통해 “현재 초록누리는 시범 운영 중이며 개선작업을 진행 중” 이라면서 “올 4월부터 본격 서비스할 예정이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일시
2018. 03. 13.
+ 링크
제목
“화학물질 독성 예측기술로 동물실험 줄일 수 있죠”
요약 내용
- [인터뷰] 최진희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부 교수 - 화학물질의 독성을 효과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실험동물에 의존하기보다는 현대 과학을 이용하려 는 기술의 연구개발이 국제사회뿐 아니라 국내에서도 부지런히 이뤄지고 있다 - 국내에서는 실험동물 사용을 줄이고 최신 평가기술로 대체하려는 연구를 안전성평가연구원의 예측 독성본부가 진행하고 있으며, 학계에서도 관련 기술의 연구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 서울시립대 환경공학부 교수인 그는 척추동물을 사용하지 않고 독성 평가 연구를 하고 있다
일시
2018. 03. 08.
+ 링크
제목
경기도, 섬유ㆍ장신구 유해물질 시험분석 인프라 구축
요약 내용
- 경기도에 섬유 및 장신구 분여 기업·소상공인들의 유해물질 시험분석 및 인증 비용 부담완화를 위 한 인프라가 구축될 전망이다 - 경기도는 국가기술표준원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섬유·장신구 제품안전 인프라 구축사업 협 약’을 체결했다 - 협약에 따라 국가기술표준원은 시험분석 장비 도입에 필요한 국비 12억6000만원을 지원하고 도는 5억4000만원을 투자해 경기북부와 북부 각각 1곳씩 ‘섬유·장신구 유해물질 시험분석소’를 구축하기 로 했다 - 이곳에서는 도내 10인 이하 영세 섬유·장신구 분야 기업 및 소상공인들을 대상으로 제품 KC인증에 필요한 시험분석과 함께, 유해물질 검출 시 원인분석과 해결방안 제시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하게 된 다
일시
2018. 03. 07.
+ 링크
첫 페이지 이동
이전 페이지 이동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페이지 이동
마지막 페이지 이동
--검색--
제목
작성자명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