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생활유해물질 알리미관련기사 국외

국외 Related News - International

제목
Danish test finds SVHC in detergent for white laundry
요약 내용
- 덴마크 실험에서 흰색 세탁물을 세탁하는데 사용되는 38개의 세제에서 SVHC과 알레르기를 일으키 는 방부제가 나왔다 - Danish Consumer Council의 'Think Chemicals'이니셔티브에 의해 수행 된이 작업은 하나의 액체 세제에서 SVHC sodium borate를 발견했다 - 이 물질은 REACH 후보 목록에 있으며 CLP 규정에 의거해 "생식력 또는 태아에게 손상을 줄 수 있으며 심각한 눈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 그리고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benzisothiazolinone 이 4개의 액체 세제에 포함돼 있었다
일시
2018. 02. 08.
+ 링크
제목
Exposure to chemical found in plastics 'hard to avoid' in everyday life
요약 내용
- 청소년의 86%가 BPA의 흔적을 몸에 갖고 있다 - Exeter 대학의 연구에 따르면 17-19세의 청소년들에게서 측정 가능한 수준의 BPA를 반견했다 - BPA는 약 6시간의 짧은 반감기로 비교적 빠른 속도로 신체를 빠져나가는데 참가학생들 86%에서 특정 가능한 수준이었고 양은 평군 1.9ng/ ml 이었다.
일시
2018. 02. 02.
+ 링크
제목
Questions asked about smoke toxicity study
요약 내용
- 난연제가 있거나 없는 가구와 관련해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의 독성을 조사하는 연구에 대한 질문이 제기됐다. 하나의 관심사는 특히 테스트를 위해 만들어진 매트리스다 - University of Central Lancashire의 리처드 헐이 이끄는 연구는 난연제가 포함된 것과 없는 것을 비교했다. 그 결과 난연제가 포함된 침전지는 더 천천히 연소되지만 더 많은 일산화탄소와 시안화 수소를 생성했다 - 그러나 BSEF (International Bromine Council)은 이 연구에 의문을 제기했는데 이 연구에서 테스트 용으로 만든 매트리스 대신 브래들리 매장에서 구매하는 품목을 사용하면 더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찾을 것 이라고 했다 - 또 Imperial College London의 소방학과 교수는 실생활에서 존재하지 않는 매트리스를 연구에 사 용한 결정이 논문에서 정당화 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일시
2018. 02. 01.
+ 링크
제목
Second-hand toys could harm children, scientists discover
요약 내용
-영국 플리머스 대학교 연구진이 일반 가정, 보육원, 학교, 자선 단체 등에서 수거한 레고, 공룡, 인 형 등 플라스틱 장난감 200점을 분석한 결과, 10% 이상에서 허용치 이상의 독성 물질이 발견 됐 다. -아이들은 장기 등이 발달 단계에 있는데다, 툭하면 장난감을 입에 넣기 때문에 이런 유해물질은 치 명적일 수 있다. -Andrew Turner박사는 “형제나 친한 이웃에게 물려받거나, 벼룩시장이나 자선단체에 구한 중고 장 난감은 값도 싸고 재활용이란 측면에서 매력적”이라며 “그러나 그런 장난감들이 어린이들을 화학물 질로 오염시킬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연구진은 몇몇 장난감에서는 브롬, 카드뮴, 납 등의 중금속이 EU의 장난감 기준을 초과하여 검출됐 다고 밝혔다. -EU는 1995년에 역내에서 판매되는 장난감의 유해물질에 대한 안전 기준을 마련했으나, 재활용 장 난감에 대해서는 아직 기준이 없는 상태다.
일시
2018. 01. 30.
+ 링크
제목
Denmark raises awareness of fluorinated substances in outdoor wear
요약 내용
-덴마크환경청은 아웃도어 의류에 함유된 불소 물질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캠페인을 시작했다. -EPA는 전 세계 불소화 물질 소비의 절반이 의류산업으로부터 나온다고 추정했는데 장갑, 비옷, 속 옷 및 대부분의 의류는 PFASs로 코팅돼 있다고 밝혔다. -최근 2년 동안 아웃도어 의류를 구입한 경험이 있는 덴마크 사람 1031명에게 설문조사 한 결과 6% 만이 의류에 불소화 물질이 함유돼 있는 것을 알고 있었다.
일시
2018. 01. 26.
+ 링크
제목
Company stops selling vinyl gloves; cites food safety risks
요약 내용
-특수 장갑 공급업체 Eagle Protect 는 과학적 근거가 늘어남에 따라 PVC장갑 판매를 중단했다. -중국은 지난 해 장갑 제조를 중단했으며 일본은 2001년 식품 서비스에서의 사용을 중단한 바 있 다. 미국 Kaiser Permanente 역시 vinyl gloves를 nitrile로 바꿨다. -EU는 2008년 vinyl gloves 의 재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음식을 만들 때 식품속에 침투해 섭취 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 제품을 금지한 바 있다.
일시
2018. 01. 22.
+ 링크
제목
US grocery chain Trader Joe's 'pursuing phenol-free receipts'
요약 내용
-에콜로지 센터(Ecology Centre) 연구에 따르면 소매영업점, 레스토랑, 은행 및 도서관을 포함한 148 개 업체의 167개의 종이 영수증을 테스트했다. -그 결과 영수증의 75%에서 BPA가 18%에서 BPS가 검출됐다. 3%는 inconclusive 이었고, 2%는 코 팅이 없었으며 1%는 페놀 화학 물질이 없는 alternative Pergafast 201를 사용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계산 직원은 시간당 최대 30개의 영수증을 처리할 수 있는데 이들의 비뇨기 또는 혈중 화학물질 수치가 일반 인구보다 "significantly higher" 이라고 말했다.
일시
2018. 01. 18.
+ 링크
제목
Tide Pod Challenge: YouTube is removing 'dangerous' videos
요약 내용
-해외 10대 청소년들 사이에서 고농축 캡슐형 세제를 입에 넣는 놀이가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일명 'Tide Pod Challenge'라고 불리는 이 유행은 청소년들의 SNS를 강타했다. -Tide Pod은 고농축 액상 세제를 담은 제품으로 물에 닿으면 녹는다. 만약 입안에서 터질 경우 독 성 물질이 인체에 흡수될 수도 있다. 섭취할 경우 구토와 설사, 발작 등을 일으킬 수 있으며 심한 경우 호흡 곤란으로 인해 목숨이 위태로울 수도 있다. -이런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청소년들은 Tide Pod을 입안에 넣는 영상을 찍어 SNS에 올리거나 더 나아가서는 음식 위에 세제를 올려 요리하는 엽기적인 인증을 하기도 했다. -최근 몇 주 동안 #TidePodChallenge 해시 태그가 상승해 미국 중독 통제 협회(CAA)가 경보를 발 령했다.
일시
2018. 01. 18.
+ 링크
제목
McDonald's promises to eliminate foam packaging by 2019
요약 내용
-맥도날드는 2019년까지 polystyrene foam 의 사용을 중단하는데 동의했다. 맥도날드는 음료컵과 테 이크아웃 용기에 사용하는 polystyrene foam을 단계적으로 중단한다는 계획이다.
일시
2018. 01. 11.
+ 링크
제목
Samsung 'looking into' decaBDE found in television
요약 내용
-삼성전자는 미국에서 판매되는 텔레비전 중 하나의 제품에서 제한 물질인 decaBDE가 어떻게 나왔 는지 조사하고 있다. -이는 NGO의 프로젝트에서 발견됐는데 삼성 대변인은 Chemical Watch에 2008년 이후 전 세계에 서 판매되는 모든 TV에서 decaBDE를 중단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NGO의 보고서에 따르면 11개의 TV는 플라스틱 인클로저에 최대 33% 또는 1/3 농도의 난연제가 포함돼 있다. -이 연구는 decaBDE, -DBDPE, -1,3,5-triazine, 2,4,6-tris(2,4,6-tribromophenoxy) (TTBP-TAZ) -bisphenol A bis-(diphenylphosphate) (BPA-BDPP -과 같은 물질들을 대상으로 연구됐다.
일시
2018. 01. 10.
+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