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Home
소개
교수님
연구실 식구들
연구
강의
게시판
생활유해물질 알리미
생활유해물질 알리미
관련기사
국내
생활유해물질 알리미
소개
관련기사
- 국내
- 국외
INNERCs
국내
Related News - Domestic
제목
수유패드 ·칫솔살균제 등 생활화학제품 30% 살생·유독물질
요약 내용
- 13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환경부와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공산품, 전기제품, 비관리 생활화학제품의 살생물질 함유실태’ 자료를 제출받아 분석한 결과, 응답업체 211 곳의 552개 제품 중 65.2%인 360개 제품에서 127종의 살생물질이 함유돼 있었다. 이 가운데 12.1%인 67개 제품은 유해화학물질이 들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 대표적인 제품은 가정용 매트, 실내용 바닥재, 수유패드, 칫솔살균제, 수정액 등이다. 가정용 섬유제 품엔 암 발생 논란이 발생했던 활석분말(talc)이 들어 있었고 실내용 바닥재는 발암물질인 톨루엔, 환경호르몬 벤조페논, 살균제인 포르말린이 각각 검출됐다. - 또 눈(雪) 스프레이는 프로판·노릴페놀류·안식향산나트륨 등이, 수정액에는 고무솔벤트·크실렌이, 칫 솔살균제는 트로클로센 나트륨이 함유돼 있다. 모두 살생 혹은 유독물질이며 일부는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살생물질 127종 중 위해성자료가 확보된 물질은 36.2%인 46종에 그쳤 다. - 공산품의 경우 4개 품목 172개 가운데 94.7%인 162개 제품에서 66종의 살생물질이 발견됐다. 21.6%인 37개 제품은 유해화학물질이었다. - 부동액은 조사제품 43개 전체가 살생물질이 함유돼 있고 워셔액, 습기제거제, 양초 등은 90% 비율 로 살생물질을 포함했다. - 공산품 및 전기용품은 온열팩, 수유패드, 비눗방울액, 수정액, 모기패치 등 91개 제품에서 50종의 살생물질을 함유했다.
일시
2017. 10. 13.
+ 링크
제목
생활화학제품 온라인 유통구조 취약…위해우려품 회수율 고작 30%
요약 내용
- 18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임이자 의원(자유한국당)이 환경부에서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 면 2015년부터 4월부터 2016년까지 회수명령 조치를 받은 판매금지 위해우려생활화학제품은 77종 241만616개다. - 하지만 이중 30.4%(73만3924개)만 회수되고, 나머지 69.6%(167만6692개)는 회수되지 않았다. - 품목별로는 방청제가 98.0% 미회수율이 가장 높고, 방향제 92.9%, 탈취제 90.6%, 접착제 84.7%, 코팅제 74.4% 등 순이다. - 의원실에에 따르면 오프라인 시장은 유통업계와 협력해 매장 입고 단계에서 차단하고 있지만, 온라 인은 잘 관리되지 않고 있다. - A업체가 2016년 온라인상에서 판매한 담배냄새제거제(방향제)의 경우, 가습기살균제 성분 중 하나 인 메칠이소티아졸리논(MIT)이 기준치보다 2.6배 가량 많이 함유된 것이 적발돼 3만7000개에 대 해 회수권고 조치가 내려졌지만, 회수율은 1.9%(693개)에 불과하다. - 이번에 판매금지 제품 77종도 90%가 넘는 71개 제품이 온라인을 통해서 판매됐다.이들 제품에는 특히 디클로로메탄, 염화비닐, PHMG(폴리헥산메틸렌브아리딘), PHMB(폴리하이드로클로라이드) 등 금지화학물질이 검출된 제품도 8개에 달한다.
일시
2017. 10. 13.
+ 링크
제목
"식품 포장지 화학물질, 건강 위해 수준 아냐"
요약 내용
- 식품 포장지에서 나오는 화학물질이 건강에 위협이 되는 수준은 아니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 13일 식품안전정보원에 따르면 최근 호주뉴질랜드 식품기준청(FSANZ)은 포장지 화학물질의 위험 성 조사 결과 발표를 통해 "인체 건강에 우려할 수준은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 식품기준청장은 "정밀 위해 평가 결과, 포장에서 식품으로 전이되는 화학물질로 인한 공중보건과 안전성 위험은 낮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발표했다. - 식품기준청 이번 조사를 3년에 걸쳐 진행했다. 산업체와 소비자 대표로 구성된 자문단을 구축하고, 2차례 의견을 수렴했다. 또한 식품의 포장 화학물질과 식이 노출 평가 검사도 실시했다.
일시
2017. 10. 13.
+ 링크
제목
굴ㆍ담치ㆍ게ㆍ지렁이 등 해양무척추생물 체 내 미세플라스틱 축적
요약 내용
- 굴, 담치, 게, 지렁이 등 해양무척추동물에 미세플라스틱이 체내 축적된 것으로 조사됐다. - 13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현권 의원이 한국해양과학기술진흥원 과 한국해양과학기술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 ‘해양 미세플라스틱에 의한 환경위해성 연 구’ 연차보고서에 따른면 이 같이 나타났다. - 또한 동물플랑크톤에 대한 미세플라스틱 만성독성평가 결과 생존율 감소, 발달지연, 체장증가에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세플라스틱이 어류의 소화기관에서 발견되어 장 내강이 미세플라 스틱으로 채워지면서 장 팽창이 나타나는 것도 확인됐다. - 뿐만 아니라 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된 개체의 이동거리 및 속도가 대조군에 비해 낮게 나타나는 경향 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미세플라스틱의 어류 체내축적으로 활동성이 감소된 때문이었다. - 동 보고서는 낙동강에서 유입되는 미세플라스틱의 이동을 추적한 결과 방출 입자의 70% 이상이 일본 서해안에 도달하거나 외해로 이동했으며 일본 서해안 > 대한민국 남해안 > 대한민국 동해안 순서로 해안 침전되는 사실도 밝혀냈다. - 해변에서 양식용 부자 알갱이의 유해물질 농도를 분석한 결과 소형 양식용 부자에서 검출된 농도보 다 약 16배 높은 농도가 검출됐으며 양식용 소형 부자보다 높은 농도를 가진 스티로폼 해양쓰레기 가 유입되었을 가능성을 제기됐다. 그리고 이는 유기 오염물질을 높은 농도로 함유하고 있는 건축 용 자재를 양식용 부자로 재활용한 사실도 확인했다. - 더욱이 이 연구는 우리나라 해양환경에서 미세플라스틱에 의한 환경위해성을 규명하기 위해 2020 년까지 단계별로 수행하고 있으나, 3차년도인 2017년의 연구 예산이 16억원에서 10억원으로 대폭 축소되어 당초계획과 다르게 주요연구를 축소하거나 성과 목표를 하향하여 수행한 것으로 드러났 다.
일시
2017. 10. 13.
+ 링크
제목
"최근 5년간 리콜명령 어린이 제품 평균 회수율, 절반 정도 불과"
요약 내용
- 12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국민의당 이찬열 의원이 국가기술표준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리콜 명령이 내려진 어린이 제품의 최근 5년간 평균 회수율은 52.1%였다. 연도별 회수율은 ▲2013년 56.1% ▲2014년 50.3% ▲2015년 52.2% ▲2016년 50.5% ▲2017년 54.5% 등으로 나타났다. - 학습능력을 떨어뜨리는 중금속 카드뮴이 기준치를 초과해 올해 3월 리콜 명령이 내려진 '12색 세필 보드마카'도 회수율이 11.1%에 불과했고, 2015년 기준치 이상의 납이 검출된 '몽이이유식턱받이'도 9.8%만 회수됐다. - 현행법인 '제품안전기본법'은 사업자로 하여금 리콜권고 및 리콜명령 후 10일 이내에 리콜계획서를 제출하고 2개월간 집중 수거 후 리콜결과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리콜이행점검에 대한 관련규정이 없어 리콜이행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을 경우 이를 확인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없는 실정이다.
일시
2017. 10. 12.
+ 링크
제목
‘발암물질 포함된’ 아이용품ㆍ‘날빠지는’ 예초기…온라인에선 버젓이 활개
요약 내용
- 12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이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산업통산자원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으로 ‘위해상품 판매차단시스템’을 도입한 온라인쇼핑몰은 전국에서 단 16곳에 불과했다. 전체 온라인쇼핑몰을 기준으로 했을 때 0.14%의 매장만이 위해상품 판매차단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는 것이다. - 그 결과 위해상품 판정을 받은 상품들이 온라인에서는 쉽게 판매됐다. 헤럴드경제가 산업통상자원 부 국가기술표준원으로부터 올해 리콜명령 판정을 받은 생활용품들을 확인한 결과 지난 7월 시정 조치를 받은 일부 제품들은 3개월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온라인에서 판매중이었다.
일시
2017. 10. 12.
+ 링크
제목
[한겨레 사설] ‘가습기 살균제 독성물질’ 규제도 풀라는 미국
요약 내용
미 ㅁ정부가 가습기살균제 물질인 CMIT와 MIT 혼합물의 규제 완화를 한국 정부에 압박하고 있다. 미국에서도 이 성분은 '산업용 살충제'로 분류되어 '2등급 흡입독성물질'로 지정되어 있지만, 업계에서 자율적으로 관리하도록 하고 있다. 다만 국내에서는 가습기 살균제로 입은 피해를 고려하면 미국과 동일한 잣대를 들이대는 건 사리에 맞지 않다. 이 문제를 고리로 미국이 화학물질 규제 전반에 개입하려 할 가능성이 있다. 다만 정부의 "국민 건강 보호를 위한 최소한의 불가피한 조처"라고 대체하고 있다는 점이 다행스럽다.
일시
2017. 10. 10.
+ 링크
제목
[단독] ‘가습기 살균제 독성물질’ 규제도 풀라는 미국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813817.html#csidx5ff32689c347557b0ccc7e1a0226f92
요약 내용
- 미국 정부가 세계무역기구(WTO)를 통해 한국 정부에 ‘가습기 살균제 사태’로 사용이 금지된 독성 물질 클로로메틸이소티아졸리논(CMIT·시엠아이티)과 메틸이소티아졸리논(MIT·엠아이티)의 규제 완 화를 요구한 것으로 확인됐다. - 우원식 의원(더불어민주당)이 9일 <한겨레>에 공개한 국정감사 자료를 보면, 지난 3월 스위스 제네 바 세계무역기구 본부에서 열린 ‘무역기술장벽(TBT) 위원회’ 정례회의에서 미국 정부는 한국 정부 의 시엠아이티·엠아이티 금지에 대해 “사용자에게 아무 위험이 없는 상황까지 포함해 불필요한 제 한을 두기보다 일부 유해제품에 있어 이들 물질의 사용을 제한하는 등 위해성 기반 규제를 설계해 야 한다”고 요구했다. 앞서 지난해 12월30일 환경부가 가습기 살균제 사태 후속 대책으로 모든 스 프레이형 제품과 모든 제형의 방향제에 시엠아이티·엠아이티 사용을 금지한 데 대해 이의를 제기한 것이다.
일시
2017. 10. 10.
+ 링크
제목
여성청결제 6종 성분 분석 “소변에서 일부 화학물질 농도 2~3배 증가”
요약 내용
- 최근 일회용 생리대가 안전성 논란에 휩싸이면서 여성용품 전반에 대한 불신이 늘었다. 과학동아는 일회용 생리대처럼 여성의 외음부에 직접 닿는 여성청결제의 안전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국내 전 문가들에게 분석을 의뢰했다. 여성청결제 6종의 성분을 조사한 결과 제품에 표시되지 않은 화학물 질이 검출됐다. 또 여성청결제를 사용하는 여성 6명의 소변 성분을 분석한 결과 일부 화학물질의 농도가 제품 사용 전에 비해 2~3배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여성청결제 분석 결과를 단독으로 공 개한다. - ● 5개 여성청결제와 1개 질세정제 성분 분석 - ● 성분 표시 안 된 화학물질 검출돼 - ● 팔뚝 피부보다 화학물질 흡수율 6배 높아 - ● 소변 검사로 체내 유입 여부 확인 - ● “위해성 조사 어려워…대체 물질 연구해야”
일시
2017. 10. 09.
+ 링크
제목
환경부-식약처, 제조·수입·유통업체 생활화학제품 성분 공개
요약 내용
- 환경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올해 10월부터 17개 생활화학제품 제조·수입·유통업체가 단계적으로 생활화학제품 전성분 공개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 이번 전성분 공개 착수는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에 대한 기업의 책임의식을 높이고 소비자 안전을 위한 기업의 자발적인 노력을 이끌어내기 위해 올해 2월 28일 체결된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자발 적 협약'에 따라 이뤄지는 것이다. - 환경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기업들이 제출한 자료를 확인·검증한 후 이를 기록으로 목록(DB)화 하고 제품의 안전성을 검증하거나 제품의 안전관리 정책 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 다만 기업이 요청하더라도 흡입·경피 등 노출경로별 독성자료가 없는 물질, 발암성, 자극성 등의 유 해성이 큰 물질은 보호대상에서 제외했다. - 또한 장기적으로는 소비자들이 구매현장에서 해당제품의 성분내역을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스마트 폰 앱이나 바코드 등을 통해서 연계시키는 방안도 추진할 계획이다. - 환경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오는 10월 중 준비된 기업부터 순차적으로 자료를 제출받아 전성분 공개에 착수하고, 2018년 12월까지 협약참여 17개 기업 모두 전성분 공개를 완료할 계획이다.
일시
2017. 10. 08.
+ 링크
첫 페이지 이동
이전 페이지 이동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페이지 이동
마지막 페이지 이동
--검색--
제목
작성자명
내용